AI·로봇·수소 중심 미래 전략 강화
AI센터·로봇 공장 구축해 산업 전환 가속
수소 플랜트·충전 인프라로 생태계 확장
국내 공장 마더팩토리화…수출 다변화
협력사 관세 전액 지원·공급망 안정 추진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11.16.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6/NISI20251116_0021061180_web.jpg?rnd=20251116153902)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11.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현대차그룹이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12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고 16일 밝혔다. 직전 5년간 집행한 89조1000억원보다 36조1000억원 늘어난 규모로, 연평균 투자액은 25조원을 넘는다. 기존 대비 40% 이상 확대된 역대 최대 수준이다.
이번 투자 계획은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국을 글로벌 혁신 허브로 육성하는데 집중된다. 투자 항목은 신사업 50조5000억원, 연구개발(R&D) 38조5000억원, 경상투자 36조2000억원으로 나뉜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인공지능(AI)과 로봇 분야를 강화한다. 페타바이트(PB)급 저장 능력을 갖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로봇 행동 데이터를 검증하는 '피지컬 AI 어플리케이션센터'를 세운다.
로봇 완성품 제조와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까지 마련해 로봇 산업 밸류체인을 확대하고, 기존 자동차 부품 협력사의 로봇 부품 R&D 지원도 넓혀 산업 전환 속도를 높인다.
수소 생태계 조성도 추진한다. 서남권에 1GW 규모 고분자 전해질막(PEM) 수전해 플랜트와 수소 출하·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PEM 수전해기·수소연료전지 부품 제조시설을 통해 수소 산업을 글로벌 수출 기반으로 육성한다.
생산 거점 고도화도 병행한다. 울산 EV 전용공장과 수소연료전지 신공장이 순차적으로 완공되고, 기아 화성 PBV 전용 전기차 거점도 확장된다.
현대제철의 액화천연가스(LNG) 자가발전소, 현대엔지니어링의 충전 인프라 구축 등 계열사 투자도 이어진다.
협력사 지원책도 포함됐다.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올해 부담한 대미 관세를 전액 지원하고, 2·3차 협력사까지 확대하는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원자재 구매, 운영자금, 해외 판로 확보 등 공급망 안정화 대책도 마련됐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전기차 전용공장을 글로벌 마더팩토리로 육성하고 수출 지역을 다변화해 완성차 수출을 지난해 218만대에서 2030년 247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전동화 차량 수출은 같은 기간 69만대에서 176만대로 2.5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미래 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중장기 투자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협력사 상생 프로그램을 확대해 자동차 산업 생태계를 더욱 견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번 투자 계획은 미래 모빌리티 경쟁력을 확보하고 한국을 글로벌 혁신 허브로 육성하는데 집중된다. 투자 항목은 신사업 50조5000억원, 연구개발(R&D) 38조5000억원, 경상투자 36조2000억원으로 나뉜다.
현대차그룹은 우선 인공지능(AI)과 로봇 분야를 강화한다. 페타바이트(PB)급 저장 능력을 갖춘 AI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로봇 행동 데이터를 검증하는 '피지컬 AI 어플리케이션센터'를 세운다.
로봇 완성품 제조와 위탁생산(파운드리) 공장까지 마련해 로봇 산업 밸류체인을 확대하고, 기존 자동차 부품 협력사의 로봇 부품 R&D 지원도 넓혀 산업 전환 속도를 높인다.
수소 생태계 조성도 추진한다. 서남권에 1GW 규모 고분자 전해질막(PEM) 수전해 플랜트와 수소 출하·충전 인프라를 구축하고, PEM 수전해기·수소연료전지 부품 제조시설을 통해 수소 산업을 글로벌 수출 기반으로 육성한다.
생산 거점 고도화도 병행한다. 울산 EV 전용공장과 수소연료전지 신공장이 순차적으로 완공되고, 기아 화성 PBV 전용 전기차 거점도 확장된다.
현대제철의 액화천연가스(LNG) 자가발전소, 현대엔지니어링의 충전 인프라 구축 등 계열사 투자도 이어진다.
협력사 지원책도 포함됐다. 현대차·기아 1차 협력사가 올해 부담한 대미 관세를 전액 지원하고, 2·3차 협력사까지 확대하는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원자재 구매, 운영자금, 해외 판로 확보 등 공급망 안정화 대책도 마련됐다.
현대차그룹은 국내 전기차 전용공장을 글로벌 마더팩토리로 육성하고 수출 지역을 다변화해 완성차 수출을 지난해 218만대에서 2030년 247만대로 늘릴 계획이다. 전동화 차량 수출은 같은 기간 69만대에서 176만대로 2.5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미래 산업 기반 강화를 위한 중장기 투자를 통해 국가 경쟁력을 높이겠다"며 "협력사 상생 프로그램을 확대해 자동차 산업 생태계를 더욱 견고히 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