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개 GPU 확보할 수 있다면…챗GPT 이미지젠 잘 작동하게"
챗GPT 글로벌 이용자 5억명 돌파…오픈AI, 약 59조원 투자 유치

행복한 비명을 지르는 오픈AI 샘 올트먼 CEO의 모습을 챗GPT를 활용해 지브리 화풍으로 생성한 이미지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오동현 기자 = 오픈AI 최고경영자(CEO) 샘 올트먼이 행복한 비명을 지르고 있다. 챗GPT가 새로운 이미지 생성 기능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며 이용자 수 5억명을 돌파했는데, 현재까지 확보한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이런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도움을 요청하는 상황이다.
올트먼 CEO는 1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10만개의 GPU를 확보할 수 있다면 최대한 빨리 연락을 해달라"고 밝혔다. GPU 문제로 인한 용량 문제 처리와 새 모델 지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는 "최대한 빨리 작업해 챗GPT 이미지젠이 잘 작동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이는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인기를 끌며 챗GPT 사용자가 급증한 것이 배경이다. "내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라는 간단한 명령만으로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AI 대중화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전 세계 사용자들 사이에선 디즈니, 심슨 가족 등 유명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를 만들어 SNS에 공유하는 것이 일종의 유행처럼 번졌다. 특히 국내에선 일본의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로 프로필을 만드는 '지브리 프사 챌린지'가 SNS에서 빠르게 확산해 화제를 모았다.
이러한 폭발적 인기는 실제 통계로도 확인됐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 292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10일 처음으로 100만명대를 기록한 후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것이다. 이미지 생성 기능 추가 후 한 달 만에 50% 이상 급증했다.
이후에도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의 폭발적인 인기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말 기준 챗GPT 글로벌 이용자 수가 5억명을 돌파했다. 올트먼 CEO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SNS 엑스에 "26개월 전 챗GPT를 출시한 지 단 5일 만에 100만 사용자를 확보했었다. 그런데 방금 단 한 시간 만에 100만 사용자가 추가됐다"며 이미지 생성 기능의 인기에 놀라움을 표했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오픈AI는 400억달러(약 59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오픈AI는 일본 소프트뱅크를 비롯한 투자자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으며, 단일 투자로는 벤처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번 투자로 오픈AI의 기업가치는 3000억달러(약 442조원)에 달하게 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odong85@newsis.com
올트먼 CEO는 1일(현지시간)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를 통해 "10만개의 GPU를 확보할 수 있다면 최대한 빨리 연락을 해달라"고 밝혔다. GPU 문제로 인한 용량 문제 처리와 새 모델 지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그는 "최대한 빨리 작업해 챗GPT 이미지젠이 잘 작동하도록 하겠다"고 전했다.
이는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인기를 끌며 챗GPT 사용자가 급증한 것이 배경이다. "내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그려줘"라는 간단한 명령만으로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앞세워 AI 대중화 열풍을 일으키고 있다.
전 세계 사용자들 사이에선 디즈니, 심슨 가족 등 유명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를 만들어 SNS에 공유하는 것이 일종의 유행처럼 번졌다. 특히 국내에선 일본의 대표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로 프로필을 만드는 '지브리 프사 챌린지'가 SNS에서 빠르게 확산해 화제를 모았다.
이러한 폭발적 인기는 실제 통계로도 확인됐다.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 2925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달 10일 처음으로 100만명대를 기록한 후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것이다. 이미지 생성 기능 추가 후 한 달 만에 50% 이상 급증했다.
이후에도 챗GPT의 이미지 생성 기능의 폭발적인 인기가 이어지면서 지난달 말 기준 챗GPT 글로벌 이용자 수가 5억명을 돌파했다. 올트먼 CEO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SNS 엑스에 "26개월 전 챗GPT를 출시한 지 단 5일 만에 100만 사용자를 확보했었다. 그런데 방금 단 한 시간 만에 100만 사용자가 추가됐다"며 이미지 생성 기능의 인기에 놀라움을 표했다.
이시간 핫뉴스
이러한 성장세에 힘입어 오픈AI는 400억달러(약 59조원) 규모의 투자 유치에도 성공했다. 오픈AI는 일본 소프트뱅크를 비롯한 투자자들로부터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고 밝혔으며, 단일 투자로는 벤처 역사상 최대 규모다. 이번 투자로 오픈AI의 기업가치는 3000억달러(약 442조원)에 달하게 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odong85@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