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산 지키려고 관세 유예?…"트럼프 자산 60%가 채권"

기사등록 2025/04/19 21:07:18

NYT "트럼프 작년 자산 1780~6310억원 추정"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 시간) 백악관 캐비넷룸에서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 오찬회동을 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4.18.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 시간) 백악관 캐비넷룸에서 조르자 멜로니 이탈리아 총리와 오찬회동을 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4.18.

[서울=뉴시스]임철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부과하려던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하기로 한 결정이 그의 자산 포트폴리오와 무관하지 않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트럼프 대통령의 자산이 채권에 집중돼 있어 시장 불안이 곧바로 개인 재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구조라는 것이다.

18일(현지 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의 2024년 재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 그가 최소 1억2500만달러(약 1780억원)에서 최대 4억4300만달러(약 6310억원)에 이르는 채권을 보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체 금융자산에서 채권이 차지하는 비중은 최소 60%에 달하며, 주식 비중은 10%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신문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마이크로소프트와 애플 같은 대형 IT기업의 회사채를 포함해 미 국채, 그리고 지방채 등 다양한 채권을 보유 중이다.

특히 지방채는 전체 채권 자산의 80%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국채 수익률은 미국 내 다른 채권들의 기준금리 같은 역할을 한다.

국채 수익률이 등락할 때 다른 채권들의 수익률도 그에 비례해 등락할 가능성이 크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부터 수입차와 부품 등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금융시장은 크게 출렁였다.

하지만 일주일 만인 9일 중국을 제외한 국가들에 대해 관세를 90일간 유예하겠다고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채권시장을 보고 있었다. 채권시장은 매우 까다롭다"고 말해 시장 반응을 의식했음을 시사했다.

NYT는 "관세 유예가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에 이익이 됐을 가능성은 충분하다"면서도 "직접적 연관성을 단정할 정황은 없다"고 전했다.

다만 대통령 자산이 백지신탁되지 않은 점은 여전히 논란거리로 남는다고 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준금리 인하를 강하게 요구하고 있다.

그는 최근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을 향해 "임기가 빨리 종료돼야 한다"며 사실상 해임을 압박했고 이에 대해 백악관은 "계속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NYT는 "트럼프 행정부는 암호화폐 사업 등 일부 분야의 규제를 완화하며 본인의 기업에 실질적인 혜택을 준 바 있다"며 "기준금리 인하 공약도 그의 금융 자산에 직접적 이익을 줄 수 있다"고 꼬집었다.

관세 유예 발표 후 미국 국채 시장은 단기적으로는 다소 안정세를 보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재산 지키려고 관세 유예?…"트럼프 자산 60%가 채권"

기사등록 2025/04/19 21:07:18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