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회복 및 정상화 위해 3128억원
AI 기술 확산 지원에 3590억원 투입
전문가 "추경 편성, 바람직한 방향"
민생회복 소비쿠폰으로 훈풍 기대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지난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 국회(임시회) 제5차 본회의에서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수정안이 재석 182인, 찬성 168인, 반대 3인, 기권 11인으로 가결되고 있다. 2025.07.05. suncho21@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4/NISI20250704_0020876633_web.jpg?rnd=20250704231238)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지난 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6회 국회(임시회) 제5차 본회의에서 제2회 추가경정예산안 수정안이 재석 182인, 찬성 168인, 반대 3인, 기권 11인으로 가결되고 있다. 2025.07.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강은정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중기부)가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약 9300억원의 예산을 확보하면서 시름에 빠진 업계에 생기가 돌지 관심이 모인다.
5일 중기부에 따르면 ▲소상공인 경영 회복과 정상화 ▲중소벤처기업 성장과 지역 경제 활성화 ▲인공지능(AI) 등 기술 혁신 보급·활용 확산에 예산을 집중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추경안을 두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으면서 민생 경제 회복의 마중물이 되길 기대했다.
국회는 전날 본회의를 열고 31조7914억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을 통과시켰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심의 과정에서 정부안(30조5451억원)보다 1조2463억원 가량이 증액됐다.
2차 추경 중 중기부 예산은 9258억원에 달한다. 소상공인의 경영 회복과 정상화에 3128억원, 기술 경쟁 선점을 위한 AI 등 보급 및 활용 확산에 3590억원, 딥테크 등 유망 창업기업 창업 생태계 기반 강화 등에 2540억원을 집중 지원한다.
특히 중소기업모태조합출자에 3000억원, 지역 주도형 AI 대전환에 350억원 등 기술 혁신을 위해 적잖은 금액을 투입한다.
이재성 중앙대 AI학과 교수는 "추경의 편성 방향이 바람직하다"며 "우리나라는 AI 분야 역사가 짧은 상황이라 중소기업의 관련 역량 향상을 위해 정부가 의지를 보인다는 것은 굉장한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한성숙 네이버 전 대표를 중기부 장관 후보자로 임명한 것도 그런 연장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특히 지방은 인력 부족 문제로 AI 기술 자체가 힘을 발휘할 가능성이 높다.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인프라 같은 역량을 키우는 것 자체가 우리나라 지금 상황이랑 잘 맞아 들어가는 선택이다"고 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우리나라가 제조업 강국인만큼 AI로 산업 생태계가 강화될 수 있게 해야한다"면서 "전체 제조 기업 17만개사 중 스마트 공장을 도입한 곳이 3만개 정도 밖에 안 된다. 수요는 느는데 예산이 없어서 집행이 안 되는 경우가 있어 중소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중심으로 쓰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지난 27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 내 한 매장에서 자영업자들이 손님맞이 준비를 하고 있다. 2025.07.05. kch05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6/27/NISI20250627_0020867157_web.jpg?rnd=20250627152404)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지난 27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 내 한 매장에서 자영업자들이 손님맞이 준비를 하고 있다. 2025.07.05. [email protected]
한편 이번 추경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예산으로 총 12조1709억원이 편성됐다. 어려운 경기·민생 여건을 상쇄하고자 전 국민에게 1인당 15만~50만원을 지급, 소비를 촉진한다는 취지다. 골목 상권 회복과 민생 경제 활성화에 초점을 맞춘 만큼 대형마트, 백화점에는 사용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돼 상대적으로 소상공인들 생계에 보탬이 될 전망이다.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본부장은 "지금 소상공인들이 벼랑 끝에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경제가 돌아갈 수 있게 지원하는건 무조건 환영"이라고 반색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장기분할 상환기간을 5년에서 7년으로 늘리고, 금리를 1%p(포인트) 감면하는 방식으로 도울 계획이다. 또 소상공인 폐업 점포철거 및 원상복구비 지원 상한을 200만원 확대, 연말까지 최대 600만원을 지원하고, 스마트상점 사업은 추가 현장 수요를 반영해 50억원 증액할 예정이다.
차 본부장은 "추석 전후에 액션을 취하는 건 잘하는 것"이라며 "더 나아가서 추석에 기업 성과급을 온누리 상품권으로 주는 방법도 검토해서 정부가 지원해주면 시너지가 더 극대화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차남수 소상공인연합회 정책본부장은 "지금 소상공인들이 벼랑 끝에 있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든 경제가 돌아갈 수 있게 지원하는건 무조건 환영"이라고 반색했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경영상 어려움을 겪는 이들의 장기분할 상환기간을 5년에서 7년으로 늘리고, 금리를 1%p(포인트) 감면하는 방식으로 도울 계획이다. 또 소상공인 폐업 점포철거 및 원상복구비 지원 상한을 200만원 확대, 연말까지 최대 600만원을 지원하고, 스마트상점 사업은 추가 현장 수요를 반영해 50억원 증액할 예정이다.
차 본부장은 "추석 전후에 액션을 취하는 건 잘하는 것"이라며 "더 나아가서 추석에 기업 성과급을 온누리 상품권으로 주는 방법도 검토해서 정부가 지원해주면 시너지가 더 극대화될 것 같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