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내란특검 2차 소환조사 출석…질문에 '침묵'

기사등록 2025/07/05 09:10:13

오전 9시께 서울고검 청사 도착…공개 출석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 관여' 등 묻자 침묵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의 2차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첫 조사때와 마찬가지로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9차 공판에 출석하는 모습. 2025.07.03.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의 2차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첫 조사때와 마찬가지로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사진은 윤석열 전 대통령이 3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열린 내란 우두머리 혐의·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 사건 9차 공판에 출석하는 모습. 2025.07.0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홍연우 이태성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5일 12·3 비상계엄과 관련한 내란·외환 사건을 수사하는 내란 특검의 2차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출석했다. 윤 전 대통령은 첫 조사때와 마찬가지로 취재진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이날 오전 9시께부터 특수공무집행방해 및 직권남용,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교사 등 혐의를 받는 윤 전 대통령을 서울고검 청사로 불러 조사에 들어간다.

윤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8시56분께 사저에서 경호처 차량을 타고 출발했다. 그는 이날 오전 9시께 특검 사무실이 자리잡은 서울고검 청사에 모습을 드러냈다.

남색 양복에 적색 넥타이를 맨 윤 전 대통령은 '(국민들에게) 사과하거나 혐의에 대해 설명할 생각 없나'란 취재진 질문에 침묵을 지켰다.

그는 '사후 계엄 선포문 작성에 관여했나' '오늘도 박창환 총경의 조사를 거부할건가' '계엄 선포문 폐기는 왜 승인했나' 등의 물음에도 아무 말을 하지 않은 채 발걸음을 옮겼다.

한편, 이날 특검 조사에서는 지난 1차 조사 당시 사실 확인 수준에 그쳤던 체포영장 집행 방해 혐의 등에 대한 보다 자세한 조사가 이뤄질 전망이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이 형사 재판 준비, 건강상 문제를 이유로 오전 10시 출석을 요구하면서 잠시 마찰을 빚기도 했으나, 지난 2일 "10~20분 정도 늦겠지만 적극적으로 진술할 예정"이라며 특검의 요구를 받아들이면서 조사는 차질 없이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또 윤 전 대통령은 첫 조사에서 지하주차장 비공개 출입을 요구한 것과 달리 현관을 통한 공개 출입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특검은 조사 순서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이 출석하면 협의를 진행하겠단 입장이다.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한 혐의와 비화폰 기록 삭제 지시 경위 등이 첫 조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앞서 특검은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과 박종준 전 경호처장 등 경호처 관계자들을 소환해 지난 1월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게 된 경위, 지시 관계, 비화폰 통화 기록 삭제 혐의 등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첫 조사에서 "불법체포를 직접 지휘했다"며 교체를 요구했던 박창환 경찰청 중대범죄수사과장(총경)을 그대로 투입해 조사에 나설 계획이다. 이에 윤 전 대통령이 또 다시 조사에 불응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박지영 특별검사보(특검보)는 "수사 방해가 어떻게 구체화되는지는 지금 단계에서 언급할 건 아니다"라고 말을 아꼈다.

특검이 윤 전 대통령의 외환 혐의와 국무회의 과정에서 직권을 남용했는지 여부도 조사할지 관심이다.

특검 측에 따르면 이미 군 관계자 등 외환 관련자들이 상당수 소환되는 등 외환 관련 조사가 진척된 상태다. 지난 1일엔 드론작전사령부에 무인기를 납품했던 국방과학연구소 항공기술연구원 소속 연구원을 부른 바 있다.

한덕수 전 국무총리를 비롯해 비상계엄 전후 국무회의에 참석 혹은 불참했던 국무위원 상당수도 조사를 받았다.

계엄 사후에 선포문이 만들어진 후 폐기된 정황, 이른바 '안가회동' 의혹도 조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 조사 내용을 검토한 뒤 추가 소환 또는 구속영장 청구 방안 등을 검토할 전망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윤석열, 내란특검 2차 소환조사 출석…질문에 '침묵'

기사등록 2025/07/05 09:10:13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