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특검, 이배용 위원장 자택 압수수색 단행
양평 공흥지구 의혹 수사 중 금거북이·편지 발견
특검, 대가로 장관급 국교위원장 '매관매직' 의심
![[서울=뉴시스]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지난 5월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3차 국가교육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DB). 2025.08.28.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30/NISI20250530_0020832972_web.jpg?rnd=20250530151355)
[서울=뉴시스]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이 지난 5월 30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53차 국가교육위원회 회의에서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사진=뉴시스DB). 2025.08.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정현 기자 = 김건희 여사의 금품수수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 위원장을 압수수색했다. 이 위원장이 김 여사 측에 '금거북이'를 건넨 정황을 포착한 데 따른 것이다. 김 여사 측은 "처음 듣는 이야기"라고 부인했다.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28일 김 여사의 귀금속 수수 의혹 사건과 관련해 서울 마포구에 소재한 이 위원장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앞서 김 여사 일가가 연루된 양평 공흥지구 의혹 사건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는데, 이 과정에서 금거북이와 편지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 앞으로 된 편지의 작성자를 이 위원장으로 보고 있다.
특검은 이처럼 이 위원장이 김 여사 측에 귀금속을 건넨 정황을 포착하고 직책을 얻은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국교위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제도 등 민감한 교육 분야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는 합의제 행정기구로, 대통령이 지명하는 상임위원이 장관급 위원장을 맡는 구조다.
이 위원장은 과거 박근혜 정부 당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의 핵심으로 지목됐던 인사로 친일 극우 편향 역사관 논란이 있던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난 2022년 9월 국교위 초대 위원장에 지명돼 업무를 수행했다.
이 위원장은 사단법인 대한민국국가조찬기도회 부회장직을 겸하고 있다. 이 조직의 회장은 이봉관 서희그룹 회장으로, 김 여사에게 '반 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 등의 선물을 주고 사위의 인사를 청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같은 의혹이 제기되자 김 여사 측은 입장을 내 "금일(28일) 기사 상의 금거북이는 처음 듣는 이야기이며 한 번도 특검 조사 때 거론된 바 없다"고 부인했다.
뉴시스는 이 위원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 차례 전화를 걸었으나 이 위원장은 휴대전화를 꺼둔 상태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법조계에 따르면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28일 김 여사의 귀금속 수수 의혹 사건과 관련해 서울 마포구에 소재한 이 위원장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했다.
특검은 앞서 김 여사 일가가 연루된 양평 공흥지구 의혹 사건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는데, 이 과정에서 금거북이와 편지를 찾은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 앞으로 된 편지의 작성자를 이 위원장으로 보고 있다.
특검은 이처럼 이 위원장이 김 여사 측에 귀금속을 건넨 정황을 포착하고 직책을 얻은 게 아닌지 의심하고 있다.
국교위는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제도 등 민감한 교육 분야 중장기 정책을 수립하는 합의제 행정기구로, 대통령이 지명하는 상임위원이 장관급 위원장을 맡는 구조다.
이 위원장은 과거 박근혜 정부 당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의 핵심으로 지목됐던 인사로 친일 극우 편향 역사관 논란이 있던 인물이다.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난 2022년 9월 국교위 초대 위원장에 지명돼 업무를 수행했다.
이 위원장은 사단법인 대한민국국가조찬기도회 부회장직을 겸하고 있다. 이 조직의 회장은 이봉관 서희그룹 회장으로, 김 여사에게 '반 클리프 앤 아펠' 목걸이 등의 선물을 주고 사위의 인사를 청탁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같은 의혹이 제기되자 김 여사 측은 입장을 내 "금일(28일) 기사 상의 금거북이는 처음 듣는 이야기이며 한 번도 특검 조사 때 거론된 바 없다"고 부인했다.
뉴시스는 이 위원장의 입장을 듣기 위해 수 차례 전화를 걸었으나 이 위원장은 휴대전화를 꺼둔 상태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