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헌 의원 분석…2016~2025년 첨단기술 출연연에 해킹 시도
"중장기적 사이버 공격 위협 대응 필요…보안 체계 재정립해야"

[서울=뉴시스]윤현성 기자 = 최근 SK텔레콤·KT 해킹 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국가 안보와 직결된 국가연구기관 등에도 지난 10년 간 수천건의 해킹 공격 시도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15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산하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S&T-CSC)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및 소속 출연연구기관 23곳을 대항으로 총 2776건의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기관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8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41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09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9건 ▲한국재료연구원 173건 ▲ 한국기계연구원 160건 ▲한국화학연구원 154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44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8건 등 9개 기관에서 100건 이상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기관은 전자통신, 원자력, 핵융합, 화학, 생명공학, 보안기술 등 국가 첨단기술과 직결되는 분야를 다루고 있다. 사이버 공격이 성공할 경우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과 안보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실제로 지난 8월 해외 보안 전문 매체 프랙은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가 행정안전부, 외교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통신사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이 의원은 국가 기반시설뿐만 아니라 정부 핵심 부처와 연구기관까지 이미 공격의 사정권 안에 들어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 의원은 "통신사뿐만 아니라 국가 주요 기관에 대한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핵심 국익이 달린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정부 기관들이 해킹 위험에 노출된 것은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SK텔레콤, KT 사태는 빙산의 일각이며 더 큰 중장기적 사이버 공격 위협에 대한 대응이 시급히 요구된다"며 "통신 인프라를 포함해 행정부, 연구 기관, 민간 기업까지 총망라하는 사이버 보안 체계의 대대적 재정립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이정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15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산하 과학기술사이버안전센터 (S&T-CSC)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6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및 소속 출연연구기관 23곳을 대항으로 총 2776건의 해킹 시도가 발생했다.
기관별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528건 ▲한국과학기술연구원 341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09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39건 ▲한국재료연구원 173건 ▲ 한국기계연구원 160건 ▲한국화학연구원 154건 ▲한국생산기술연구원 144건 ▲한국표준과학연구원 108건 등 9개 기관에서 100건 이상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연구기관은 전자통신, 원자력, 핵융합, 화학, 생명공학, 보안기술 등 국가 첨단기술과 직결되는 분야를 다루고 있다. 사이버 공격이 성공할 경우 단순한 정보 유출을 넘어 국가 과학기술 경쟁력과 안보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는 이유다.
실제로 지난 8월 해외 보안 전문 매체 프랙은 북한 해킹 조직 '김수키'가 행정안전부, 외교부, 통일부, 해양수산부 등 정부 부처와 통신사를 대상으로 공격을 시도했다고 전했다.
이를 두고 이 의원은 국가 기반시설뿐만 아니라 정부 핵심 부처와 연구기관까지 이미 공격의 사정권 안에 들어와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 의원은 "통신사뿐만 아니라 국가 주요 기관에 대한 전방위적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있다"며 "특히 핵심 국익이 달린 과학기술·정보통신 분야 정부 기관들이 해킹 위험에 노출된 것은 중대한 안보 위협"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SK텔레콤, KT 사태는 빙산의 일각이며 더 큰 중장기적 사이버 공격 위협에 대한 대응이 시급히 요구된다"며 "통신 인프라를 포함해 행정부, 연구 기관, 민간 기업까지 총망라하는 사이버 보안 체계의 대대적 재정립을 시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