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1.68% 하락한 3550.08 출발
코스닥도 1.20%↓…반도체 낙폭 커
삼전·SK하이닉스 하락세 두드러져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60.52포인트(1.68%) 내린 3550.08에 출발했다. 원달러 환율은 9.0원 오른 1430.0원으로, 코스닥지수는 13.73포인트(1.60%) 하락한 845.76에 거래를 시작했다. 2025.10.13. kch0523@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13/NISI20251013_0021011591_web.jpg?rnd=20251013092453)
[서울=뉴시스] 권창회 기자 = 13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피가 전 거래일 대비 60.52포인트(1.68%) 내린 3550.08에 출발했다. 원달러 환율은 9.0원 오른 1430.0원으로, 코스닥지수는 13.73포인트(1.60%) 하락한 845.76에 거래를 시작했다. 2025.10.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진아 기자 = 주말새 미국과 중국간 무역전쟁이 격화할 조짐을 보이면서 코스피가 하락 출발했다. 그간 국내증시에서 매수세를 유지했던 외국인들이 매도세로 돌아선 가운데 상승 랠리를 이끌었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하락세도 두드러지고 있다.
13일 오전 9시15분 기준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53.62(1.49%) 하락한 3556.98에 거래되고 있다. 긴 연휴를 마치고 지난 10일 3600선에 안착했던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1.68% 하락한 3550.08에 출발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개인과 기관이 각각 1700억원을 937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은 2757억원을 순매도 중이다.
업종별로는 비철금속(3.92%), 상사(2.14%), 미디어(1.73%), 조선(1.53%) 등이 증가세를 보이고 있지만, 반도체(-3.32%)를 비롯해 전자장비·사무용전자제품(-2.95%), 증권(-2.11%), 생명과학(-2.06%) 등 전반에서 약세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3.28%), SK하이닉스(-4.79%)의 하락폭이 두드러졌다.
지난주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움직임에 대해 강경 발언을 내놓으며 미중 무역분쟁이 재점화할 양상을 보인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이 다음 달부터 중국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일제히 급락한 바 있다.
이밖에도 LG에너지솔루션(-1.11%), 삼성바이오로직스(-0.39%), 한화에어로스페이스(-0.96%), 현대차(-0.23%) 등도 하락 중이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0.28포인트(-1.20%) 내린 849.21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4억원, 88억원을 매수하고 있지만 개인은 135억원을 순매도하고 있다.
코스닥 역시 대다수 종목이 하락세다. 레인보우로보틱스(-2.43%), 알테오젠(-2.60%), 펩트론(-3.06%), 리가켐바이오(-0.46%), 에이비엘바이오(-2.13%), 삼천당제약(-2.63%) 등 주요 바이오·2차전지 종목들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다만 에코프로비엠(0.71%), 에코프로(1.07%), 파마리서치(1.85%) 등은 소폭 상승세를 보였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한동안 주식시장에서는 미중 무역갈등을 위험 요인 상 후순위로 취급해온 측면이 있기에 트럼프의 돌발 발언에 대한 충격이 체감상 더 크게 다가왔던 것"이라면서도 "다만 미중 갈등 격화가 대규모 맞불관세로 이어져 지난 4월의 폭락장 재연이라는 경로를 답습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국내 증시는 미중 무역 갈등 확대 여부와 연방정부의 셧다운 해소 여부, 파월 의장 등 연준 인사들의 발언에 더해 골드만삭스 등 미국 금융 및 반도체주의 실적과 삼성전자의 3분기 잠정실적 등에 영향을 받을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