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자중기위 국감…허종식 의원 질의에 답변
"미국도 우리 상황 이해…역사적 책무 의식"
"오랜 시일 걸리지 않도록 접점 찾아갈 것"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등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4. kkssmm99@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24/NISI20251024_0021027422_web.jpg?rnd=20251024102135)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등 종합감사에서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2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손차민 전상우 수습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한미 관세협상 후속협의와 관련해 "미국 쪽에서 선투자 부분에 대한 입장은 상당 부분 접었다"고 24일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 허종식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미국도 어느 정도 이해가 돼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허 의원은 "국민들 입장에서는 3500억 달러가 500조원 정도인데 이걸 선투자하라는 게 국민 감정을 떠나서 불가능하다는 것을 다 알고 있다"며 "미국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허 의원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을 계기로 한미 관세협상의 문서화가 가능하는지 물었는데, 김 장관은 "예단하기는 쉽지 않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미국 측 입장을 받아들이기에 국민 경제나 우리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했을 때 쉽지 않은 상황이고 저도 역사적인 책무의식을 가지고 협상에 임하고 있다"며 "제가 할 수 있는 한 우리 국익과 국민들의 삶에 가장 부합할 수 있는 안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자동차 업계가 수출 현장에서 피해를 감내하는 부분은 무겁게 생각한다"며 "오랜 시일이 걸리지 않도록 접점을 찾아가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미국 정부는 한국의 대미투자액 3500억 달러에 대해 '선투자(Up front)' 지급하라고 압박한 바 있다.
이에 김 장관은 지난 22일 방미해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만나 이견을 조율했으며, 이날 오전 4시께 귀국했다.
![[인천공항=뉴시스] 정병혁 기자 =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4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0.24 jhope@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24/NISI20251024_0021027343_web.jpg?rnd=20251024053246)
[인천공항=뉴시스] 정병혁 기자 = 관세협상 후속 협의를 위해 미국 워싱턴 D.C.를 방문했던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이 24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귀국해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10.24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