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AI 팩토리' 구축
AI모델·휴머노이드 로봇 등 협업 확대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손을 맞대고 있다.(공동취재) 2025.10.30.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30/NISI20251030_0021038571_web.jpg?rnd=20251030231938)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손을 맞대고 있다.(공동취재) 2025.10.30. [email protected]
[경주=뉴시스]이현주 기자 =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반도체 제조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할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한다.
삼성전자는 메모리·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를 아우르는 업계 최대 수준의 반도체 제조 인프라를 갖춘 종합 반도체 기업이다.
이를 바탕으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AI 기술 시너지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 글로벌 제조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D램을 공급한 것을 시작으로 파운드리 분야까지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
이 프로젝트는 25년 이상 이어온 양사의 기술 협력이 맺은 결실로,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 구현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삼성전자는 AI 모델과 휴머노이드 로봇 기술을 고도화하고 관련 기술을 AI 팩토리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로 확대한다. 특히 생성형 AI·로보틱스·디지털 트윈 등을 아우르는 차세대 AI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삼성전자의 AI 모델은 엔비디아 GPU상에서 메가트론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 다국어 대화, 지능형 요약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제품의 제조 자동화 및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전반에서 엔비디아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플랫폼으로 지능형 로봇의 상용화 및 자율화 기술 고도화도 추진 중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다양한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가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제 로봇 데이터를 연결해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작동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도 구현하고 있다.
아울러 엔비디아의 젯슨 토르 로보틱스 플랫폼을 활용해 지능형 로봇의 AI 추론, 작업 수행, 안전 제어 기술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및 국내 산·학·연과 차세대 지능형 기지국(AI-RAN) 기술 연구 및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능형 기지국(AI-RAN)은 네트워크 및 AI 기술을 융합해 차세대 AI 로봇 등 피지컬 AI 및 새로운 서비스의 구현을 지원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이는 로봇, 드론, 산업현장의 자동화 장비 등 피지컬 AI가 통신망에서 실시간으로 동작, 센싱, 데이터 연산 및 추론을 가능하게 해 피지컬 AI 도입과 확산에 필수적인 신경망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엔비디아와 협력해 지능형 기지국(AI-RAN) 기술 검증에 성공한 바 있으며, 이번 MOU 체결을 통해 AI 및 소프트웨어 기반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삼성전자는 메모리·시스템반도체·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를 아우르는 업계 최대 수준의 반도체 제조 인프라를 갖춘 종합 반도체 기업이다.
이를 바탕으로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AI 기술 시너지를 통해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를 구축, 글로벌 제조 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그래픽카드에 D램을 공급한 것을 시작으로 파운드리 분야까지 파트너십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왔다.
이 프로젝트는 25년 이상 이어온 양사의 기술 협력이 맺은 결실로, 업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AI 팩토리 구현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AI 모델·휴머노이드 로봇·AI-RAN 기술도 협업 강화
삼성전자의 AI 모델은 엔비디아 GPU상에서 메가트론 프레임워크를 사용했다.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기반으로 실시간 번역, 다국어 대화, 지능형 요약 등에서 탁월한 성능을 발휘한다.
삼성전자는 다양한 제품의 제조 자동화 및 휴머노이드 로봇 분야 전반에서 엔비디아 RTX 프로 6000 블랙웰 서버 에디션 플랫폼으로 지능형 로봇의 상용화 및 자율화 기술 고도화도 추진 중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의 다양한 AI 플랫폼을 기반으로 가상 시뮬레이션 데이터와 실제 로봇 데이터를 연결해 현실 세계를 인식하고, 스스로 판단·작동할 수 있는 로봇 플랫폼도 구현하고 있다.
아울러 엔비디아의 젯슨 토르 로보틱스 플랫폼을 활용해 지능형 로봇의 AI 추론, 작업 수행, 안전 제어 기술을 강화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및 국내 산·학·연과 차세대 지능형 기지국(AI-RAN) 기술 연구 및 실증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지능형 기지국(AI-RAN)은 네트워크 및 AI 기술을 융합해 차세대 AI 로봇 등 피지컬 AI 및 새로운 서비스의 구현을 지원하는 차세대 통신 기술이다. 이는 로봇, 드론, 산업현장의 자동화 장비 등 피지컬 AI가 통신망에서 실시간으로 동작, 센싱, 데이터 연산 및 추론을 가능하게 해 피지컬 AI 도입과 확산에 필수적인 신경망 역할을 한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엔비디아와 협력해 지능형 기지국(AI-RAN) 기술 검증에 성공한 바 있으며, 이번 MOU 체결을 통해 AI 및 소프트웨어 기반 협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