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젠슨 황, 경주 APEC CEO 서밋 회동
최태원 "엔비디아 AI 팩토리 기반 인프라 구축"
젠슨 황 "SK, 엔비디아 핵심 메모리 기술 파트너"
![[경주=뉴시스] 추상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의 회장이 29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Summit)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10.29.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29/NISI20251029_0021034489_web.jpg?rnd=20251029113038)
[경주=뉴시스] 추상철 기자 = 최태원 SK그룹 회장 겸 대한상의 회장이 29일 경북 경주예술의전당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최고경영자(CEO) 서밋(Summit) 개회식에서 개회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10.29. [email protected]
[경주=뉴시스]이현주 기자 = SK그룹이 GPU 5만장이 넘는 AI 인프라 'AI 팩토리'를 엔비디아와 함께 구축한다. AI 팩토리는 제조 AI 클라우드, 울산에서의 AI 데이터센터 프로젝트 등이 포함된 '엔비디아 GPU 기반 AI 산업 클러스터'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CEO 서밋에서 만나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협력 방안 및 반도체 협력과 국내 제조 AI 생태계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SK그룹은 2027년 목표로 울산에 100㎿ 규모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진행 중이며, 이를 아시아·태평양 AI 거점으로 육성하는 구상을 구체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AI 팩토리가 국내 제조 AI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SK그룹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디지털 트윈과 로봇, 거대언어모델(LLM) 등 학습 및 추론, 3차원(3D) 시뮬레이션 기능을 두루 갖춘 '산업용 AI 서비스 공급 사업자'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AI 메모리 주요 파트너로, 업계 최고 수준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HBM3, HBM3E의 핵심 공급사 지위를 이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업계 최고 속도와 성능을 지원하는 HBM4에 대한 공급 협의를 고객과 마무리하고 4분기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본격적인 판매 확대에 나선다.
최태원 회장은 "SK그룹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AI를 국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엔진으로 만들고 있다"며 "산업 전반이 규모, 속도, 정밀도의 한계를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SK그룹은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구동할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젠슨 황 CEO는 "AI 시대에 AI 팩토리라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공장이 등장했다"며 "SK그룹은 엔비디아의 핵심적인 메모리 기술 파트너로, 엔비디아가 전 세계 AI 발전을 주도하는 최첨단 GPU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황 CEO는 "SK그룹의 혁신과 한국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AI 팩토리를 조성하고 있다는 점이 기쁘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SK그룹 회장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2025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CEO 서밋에서 만나 '제조 AI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협력 방안 및 반도체 협력과 국내 제조 AI 생태계 발전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SK그룹은 2027년 목표로 울산에 100㎿ 규모 하이퍼스케일급 AI 데이터센터 사업을 진행 중이며, 이를 아시아·태평양 AI 거점으로 육성하는 구상을 구체화하고 있다.
무엇보다 AI 팩토리가 국내 제조 AI 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SK그룹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디지털 트윈과 로봇, 거대언어모델(LLM) 등 학습 및 추론, 3차원(3D) 시뮬레이션 기능을 두루 갖춘 '산업용 AI 서비스 공급 사업자'로 발돋움할 계획이다.
SK하이닉스는 엔비디아의 AI 메모리 주요 파트너로, 업계 최고 수준의 고대역폭메모리(HBM)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HBM3, HBM3E의 핵심 공급사 지위를 이어 가고 있다. 최근에는 업계 최고 속도와 성능을 지원하는 HBM4에 대한 공급 협의를 고객과 마무리하고 4분기를 시작으로 내년에는 본격적인 판매 확대에 나선다.
최태원 회장은 "SK그룹은 엔비디아와 협력해 AI를 국내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엔진으로 만들고 있다"며 "산업 전반이 규모, 속도, 정밀도의 한계를 넘어서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 AI 팩토리를 기반으로 SK그룹은 차세대 메모리, 로보틱스, 디지털 트윈, 지능형 AI 에이전트를 구동할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젠슨 황 CEO는 "AI 시대에 AI 팩토리라는 새로운 형태의 제조공장이 등장했다"며 "SK그룹은 엔비디아의 핵심적인 메모리 기술 파트너로, 엔비디아가 전 세계 AI 발전을 주도하는 최첨단 GPU 컴퓨팅 플랫폼을 개발할 수 있게 지원하고 있다"고 전했다.
황 CEO는 "SK그룹의 혁신과 한국 AI 생태계를 활성화할 AI 팩토리를 조성하고 있다는 점이 기쁘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공동취재) 2025.10.30.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30/NISI20251030_0021038563_web.jpg?rnd=20251030231938)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서 인사를 하고 있다.(공동취재) 2025.10.30. [email protected]
SKT, 'AI 네트워크' R&D 양해각서 체결
이를 계기로 SK텔레콤은 6세대(6G) 이동통신 핵심기술로 꼽히는 'AI-RAN(무선접속네트워크)' 기술 개발에 엔비디아, 국내 통신사, 삼성전자, 연세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 함께 한다.
AI-RAN은 여러 기기에서 생성되는 AI 데이터를 무선 인터넷망에서 고속, 저(低)지연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SK텔레콤과 국내 기업 및 연구기관들은 엔비디아와 AI-RAN 실증, 표준화, 상용화 등에 함께 하며 한국을 글로벌 AI-RAN 기술검증 허브로 육성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내년부터 AI-RAN R&D, 실증망 구축을 지원한다. SK텔레콤은 R&D, 실증뿐 아니라 AI-RAN에 특화한 AI 서비스 발굴에도 적극 나선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