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불확실성으로 치솟은 금
비트코인에도 '헷지 수요' 전이될 수 있어
"탈달러·미국 비축 정책, 비트코인 포모 부추길 것"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에 따라 대체자산 수요가 급증하면서 금값이 최고가를 또 경신했다. 금값을 끌어올린 글로벌 포모(FOMO·Fear of Missing Out·놓칠 것에 대한 두려움)가 디지털 금 '비트코인' 열풍으로 번질지 주목된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국제 금 가격이 지난 20일(현지시간) 사상 최고치를 재차 갈아치웠다. 올해 들어서만 10번째 경신이다.
지난 20일 장중 금 현물 가격은 2954달러까지 올랐다. 금 선물도 한때 사상 최고치인 2973달러까지 치솟으며 3000달러에 육박했다.
금값이 연일 랠리를 펼치는 배경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촉발한 '글로벌 관세 전쟁'에 따른 불확실성이다. 각국 중앙은행과 글로벌 기관들이 이를 헷지하기 위해 대표 안전자산인 금을 공격적으로 매집하면서 수급 효과가 극단적으로 나타난 것이다.
실제로 금 품귀 현상은 최근 국내를 비롯해 전세계적으로 벌어지고 있다. 금 수요를 공급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실버바에 투자 수요가 몰리는 풍선 효과도 발생한 상태다.
너도나도 금 투자에 뛰어드는 '글로벌 금 포모'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같은 양상이 비트코인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진단도 잇따른다. 금과 마찬가지로 공급량이 제한된(2100만개) 비트코인의 고유 특성에 따라 헤지 수요가 전이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최근 중국과 러시아, 인도 등을 중심으로 탈(脫)달러 움직임이 전세계적으로 확산한 것도 비트코인 포모론을 뒷받침한다. 그만큼 글로벌 기관들이 달러를 대체할 자산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백훈종 스매시파이 대표는 "금값이 오르는 본질은 대체 자산에 대한 수요다. 이를 견인하는 각국 중앙은행과 글로벌 기관들의 포모가 비트코인으로 옮겨붙을 가능성이 있다"며 "특히 탈달러 러쉬가 전세계적으로 퍼진 것 역시 비트코인에 대한 글로벌 수요를 끌어올릴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아부다비 국부펀드는 이미 블랙록 비트코인 현물 ETF IBIT를 보유 중이다. 스탠다드차타드(SC)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향후 더 많은 각국 국부펀드가 비트코인을 매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SC는 지난 18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지난해 4분기 미국 증권보유현황 보고서(13F)를 분석한 결과 앞으로 더 많은 각국 국부펀드가 가상자산 시장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특히 다른 국가들이 아부다비 사례를 따를 가능성이 크다. 더 많은 기관들이 가상자산 시장에 유입되면서 비트코인은 오는 2028년까지 50만달러(7억1725만원)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가 예고한 미국의 비트코인 비축 정책도 트리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미국에서 출시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가 민간 금융시장의 인식을 변화시켰다면, 미국 정부의 비트코인 비축 정책이 국가적 단위의 포모를 일으킬 것이란 설명이다.
실제로 현재 미국 외에 캐나다, 체코, 러시아 등이 비트코인 비축에 대한 긍정적 입장을 밝힌 상태다.
그중에서도 러시아는 '아무도 비트코인을 금지할 수 없다'고 선언하며 매수 의지를 선명하게 드러냈다. 우크라이나 전쟁에 따라 국제 금융 시스템에서 배제된 상황에서 비트코인을 돌파구로 택하려는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비트코인은 탈중앙화된 디지털 자산이란 점에서 서방의 금융 제재를 피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주 정부들이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현재 미국 20여 개 주 의원들이 비트코인 준비금 조성 등 가상자산 수용 법안들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중 추진 속도가 가장 빠른 곳은 애리조나로, 유타와 오하이오·앨라배마·텍사스 등도 속도를 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백 대표는 "미국 주 정부들이 비트코인 비축 법안을 발의했는지 여부를 추적하는 사이트가 여러 개 나오고 있다. 지난해 미국 비트코인 현물 ETF 출시 당시 분위기랑 비슷하다"며 "실제로 비축 법안이 발의된다면 현물 ETF 출시 때보다 더 큰 포모가 찾아올 수 있다"고 분석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