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여가장관 인사청문회서 발언
"尹정부서 대대적으로 예산 삭감해"
"디성센터, 절대적 인력·예산 부족"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2025.07.14. kkssmm99@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14/NISI20250714_0020888132_web.jpg?rnd=20250714122445)
[서울=뉴시스] 고승민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여성가족위원회의 인사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을 듣고 있다. 2025.07.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우리 사회에 성차별은 존재한다"며 "윤석열 정부에서 성평등 의식이 후퇴됐고 대한민국 뿌리가 흔들렸다"고 말했다.
강선우 후보자는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윤석열 정부의 여성정책 관련 문제점을 묻는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강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는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며 "여가부는 성평등을 통해 우리 국가가 성장하고 회복하는 일을 하는데 부처를 폐지하겠다고 공약을 한 건 이런 일들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대적으로 예산이 삭감되고 없어진 사업도 많고 성평등 의식도 후퇴했다"며 "성평등, 가족, 청소년 관련해서 정책이 후퇴했다는 건 대한민국 뿌리가 그만큼 흔들렸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강 후보자는 우리 사회에 구조적 성차별, 젠더불평등이 존재하느냐고 묻는 질문에 "그렇다"며 "사회구조적, 문화적으로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성폭력 피해자와 관련해서 잘 보호되고 지원되는지 상당히 의문"이라며 "각 부처에서 성평등이 분절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재검토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려는 정책을 묻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보호하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의 강화를 언급했다.
강 후보자는 "디성센터는 중앙디성센터와 지역디성센터로 나눠져 있는데 중앙은 인력이 37명, 예산도 4억4000만원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며 "이 디성센터에서 AI(인공지능) 기술발전으로 인해 나날히 고도화되는 디지털성범죄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절대적으로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여성폭력과 관련해 "처벌은 법무부, 지원 및 보호는 여가부가 주무부처인데, 처벌이 된다 해도 피해 지원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면 성폭력 피해자는 다시 한 번 성폭력 테두리에 갇히게 된다"며 "균형과 조화가 적절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강선우 후보자는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윤석열 정부의 여성정책 관련 문제점을 묻는 질의에 이 같이 답했다.
강 후보자는 "윤석열 정부는 여성가족부 폐지를 공약으로 내걸었다"며 "여가부는 성평등을 통해 우리 국가가 성장하고 회복하는 일을 하는데 부처를 폐지하겠다고 공약을 한 건 이런 일들을 하지 않겠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대적으로 예산이 삭감되고 없어진 사업도 많고 성평등 의식도 후퇴했다"며 "성평등, 가족, 청소년 관련해서 정책이 후퇴했다는 건 대한민국 뿌리가 그만큼 흔들렸다는 뜻"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강 후보자는 우리 사회에 구조적 성차별, 젠더불평등이 존재하느냐고 묻는 질문에 "그렇다"며 "사회구조적, 문화적으로 성차별이 존재한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이어 "성폭력 피해자와 관련해서 잘 보호되고 지원되는지 상당히 의문"이라며 "각 부처에서 성평등이 분절적으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재검토가 적극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가장 중점적으로 추진하려는 정책을 묻자 디지털 성범죄 피해자를 보호하는 디지털성범죄피해자지원센터(디성센터)의 강화를 언급했다.
강 후보자는 "디성센터는 중앙디성센터와 지역디성센터로 나눠져 있는데 중앙은 인력이 37명, 예산도 4억4000만원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며 "이 디성센터에서 AI(인공지능) 기술발전으로 인해 나날히 고도화되는 디지털성범죄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절대적으로 인력과 예산이 부족한 상태"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여성폭력과 관련해 "처벌은 법무부, 지원 및 보호는 여가부가 주무부처인데, 처벌이 된다 해도 피해 지원이 잘 이뤄지지 않는다면 성폭력 피해자는 다시 한 번 성폭력 테두리에 갇히게 된다"며 "균형과 조화가 적절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