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美 비자 지침 향방 예의주시[美 한국 근로자 단속 파장③]

기사등록 2025/09/08 14:35:13

최종수정 2025/09/08 15:04:50

배터리 3사, 美 출장자에 대한 전면 점검

5년전 비슷한 일 있었지만, 규모 달라

"정부가 미국으로부터 가이드라인 받아주길"


[서울=뉴시스] =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 ICE 홈페이지 영상 캡쳐) 2025.09.0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 ICE 홈페이지 영상 캡쳐) 2025.09.0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신항섭 기자 = 미국 정부의 불법체류자 단속으로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HL-GA 배터리회사) 한국인 근무자 300여명이 구금되며 한국 배터리 업계의 미국 사업 불안감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한국 배터리업체들은 북미 전기차(EV)·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을 위해 대규모 투자를 진행 중이지만, 이번 단속으로 향후 공장 건립 등에 큰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무엇보다 미국 정부의 한국인 근로자에 대한 비자 지침이 어떤 식으로 정리되느냐가 초미의 관심사다.

8일 업계에 따르면 HL-GA 배터리회사 불법체류자 단속 사태 이후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은 미국 출장과 협력업체 인력에 대한 전면 점검을 실시했다.

현지에서 근무 중인 인원들은 올해 비자 종료 시점 및 유효기간, 협력사 인력의 국적 및 계약 관계 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47명의 구금자가 나온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지난 주말 미국 출장 전면 중단했고, 현재 출장자는 업무 현황 등을 고려해 즉시 귀국 또는 숙소 대기를 하고 있다.

배러티업계는 무엇보다 이번 사태가 미국 사업에 어떤 결과를 초래할 지 주시하고 있다. 과거 비슷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번 같은 대규모 단속은 처음이기 때문이다.

지난 4일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와 국토안보수사국(HSI)는 단속으로 한국인만 300여명이 체포됐다.

5년전인 2020년 SK배터리아메리카(SKBA)의 조지아 공장에서도 한국인 33명이 불법 노동으로 인해 추방 조치를 당한 바 있다.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5년전 당시 트럼프 정부 1기 때에도 SKBA에서 비슷한 일이 있었지만 이번과 확연히 달랐다"며 "이번 단속에선 장갑차가 등장했고, 수백명이 체포됐는데 대규모 군사작전을 방불케했다"고 전했다.

이어 "미국에서 사업을 진행하는 한국 기업들 입장에선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며 "출장자에 대한 비자를 확인하지 않은 한국 기업이 없을 정도"라고 덧붙였다.

특히 한국 배터리 기업들은 미국 전기차(EV) 시장과 ESS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현지에 적극 진출하는 상황이다.

이번 단속이 벌어진 HL-GA 배터리 회사는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총 43억달러(약 6조원)을 공동 투자한 합작회사다.

미국 조지아주가 추가로 20억달러(약 2조8000억원)를 투자할 것이라고 발표한 것을 감안하면 전체 투자 규모는 63억달러(8조8000억원)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SK온도 현대차와 50억달러(7조원)를 투입해 조지아에 합작 공장을 신설하고 있다. 또 포드와 총 114억달러(약 16조원)을 투자해 합작법인 블루오벌SK를 설립했다.

블루오벌SK는 미국 켄터키주와 테네시주에 배터리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컨테키주 공장의 경우, 최근 가동에 들어갔다.

삼성SDI는 인디애나주에 스텔란티스 2공장 건설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 공장은 2027년 준공을 목표로 한다.

배터리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아직 추가 조치는 나오지 않았지만 이번 단속 결과로 미국 당국이 어느 선까지 한국인 근무를 허용하고, 가로 막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한국 정부가 미국과 논의해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받기를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K-배터리, 美 비자 지침 향방 예의주시[美 한국 근로자 단속 파장③]

기사등록 2025/09/08 14:35:13 최초수정 2025/09/08 15:04:50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