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이민 당국에 체포된 한국인, 조만간 귀국
신규 설비와 로봇 공장 건설 차질 불가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인하 서명도 불투명
'비자 문제' 등 대미 투자 환경 취약성 직면
![[서울=뉴시스] =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 ICE 홈페이지 영상 캡쳐) 2025.09.06.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9/06/NISI20250906_0020963607_web.jpg?rnd=20250906212409)
[서울=뉴시스] = 미국 이민 단속 당국이 홈페이지를 통해 지난 4일(현지시간)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의 합작 배터리 공장 건설현장에서 벌인 불법체류·고용 단속 현장 영상을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했다. (사진= ICE 홈페이지 영상 캡쳐) 2025.09.0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박현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불법 체류자 단속' 변수로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전략이 흔들리고 있다. 향후 미국 내 공장 건설은 물론, 미국의 자동차 관세 인하 발효도 늦춰질 수 있다는 관측까지 들린다.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4일(현지시간)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한 'HL-GA 배터리' 공사 현장에서 대규모 단속을 벌였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일부 노동자들이 부적절한 비자를 사용해 현장에 투입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색영장을 집행했다. 이 과정에서 300여 명의 한국인이 연행됐지만, 다수는 자진 출국 형식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올해 말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던 'HL-GA 배터리' 공사가 멈춰섰고, 정상화 시점도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비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상당 시간과 비용이 소요돼 추가 공사 지연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이 공장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일자리 창출 성과의 상징으로 내세웠던 곳이다. 이런 배경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단속을 지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대차그룹은 루이지애나주에 현대제철 신규 설비 구축과 2029년까지 연 3만 대 규모의 로봇 공장 건설을 계획했지만, 이번 단속 사태로 일정 차질은 불가피할 조짐이다.
미국 정부가 '노동·이민' 규제를 강화하면 숙련된 인력 확보는 더 어려워지고, 공사 지연은 한층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관세 문제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15% 관세율을 적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한국과도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협상을 타결했고,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도 이를 재확인했지만, 트럼프 대통령 서명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번 미 당국의 단속 사태가 외교 마찰로 불거질 경우 관세 인하 발효 시점이 더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경우 현대차·기아가 감당해야 할 관세 부담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이 '진퇴양난'에 놓였다는 분석도 있다. 이민 단속이 심화하면서 투자와 공장 건설이 지지부진해지면 미국 정부의 압박은 더 거세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무리하게 미국의 요구에만 맞추면 투자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이 쉽게 이용 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들린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환경이 정치·제도적 변수에 얼마나 취약한 지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한국인 구금 사태를 계기로 현대차그룹은 대미 투자 전략 리스크 관리에 다시 한번 신중해야 한다"며 "미국 법규 준수 체계 강화와 함께 투자 거점을 다변화하는 등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8일 업계에 따르면 미국 이민 당국은 지난 4일(현지시간)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한 'HL-GA 배터리' 공사 현장에서 대규모 단속을 벌였다.
미국 이민세관단속국(ICE)과 국토안보수사국(HSI)은 일부 노동자들이 부적절한 비자를 사용해 현장에 투입된 정황을 포착하고 수색영장을 집행했다. 이 과정에서 300여 명의 한국인이 연행됐지만, 다수는 자진 출국 형식으로 귀국할 예정이다.
문제는 앞으로다. 올해 말 본격 양산에 돌입할 예정이던 'HL-GA 배터리' 공사가 멈춰섰고, 정상화 시점도 현재로선 불투명하다. 비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상당 시간과 비용이 소요돼 추가 공사 지연은 불가피하다는 전망이다.
이 공장은 조 바이든 전 미국 대통령이 일자리 창출 성과의 상징으로 내세웠던 곳이다. 이런 배경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단속을 지시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현대차그룹은 루이지애나주에 현대제철 신규 설비 구축과 2029년까지 연 3만 대 규모의 로봇 공장 건설을 계획했지만, 이번 단속 사태로 일정 차질은 불가피할 조짐이다.
미국 정부가 '노동·이민' 규제를 강화하면 숙련된 인력 확보는 더 어려워지고, 공사 지연은 한층 장기화할 수밖에 없다.
미국 관세 문제도 불확실성을 키우는 요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일본산 자동차와 부품에 15% 관세율을 적용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한국과도 자동차 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협상을 타결했고, 지난달 한미정상회담에서도 이를 재확인했지만, 트럼프 대통령 서명은 아직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번 미 당국의 단속 사태가 외교 마찰로 불거질 경우 관세 인하 발효 시점이 더 늦춰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 경우 현대차·기아가 감당해야 할 관세 부담은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
현대차그룹이 '진퇴양난'에 놓였다는 분석도 있다. 이민 단속이 심화하면서 투자와 공장 건설이 지지부진해지면 미국 정부의 압박은 더 거세질 수밖에 없다.
그렇다고 무리하게 미국의 요구에만 맞추면 투자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이 쉽게 이용 당할 수 있다는 우려도 들린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를 통해 현대차그룹의 대미 투자 환경이 정치·제도적 변수에 얼마나 취약한 지 단적으로 보여준다는 목소리가 높다.
업계 한 관계자는 "이번 한국인 구금 사태를 계기로 현대차그룹은 대미 투자 전략 리스크 관리에 다시 한번 신중해야 한다"며 "미국 법규 준수 체계 강화와 함께 투자 거점을 다변화하는 등 보완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