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불참 표명에도 日당국 "13일 사도광산 추도식 개최"

기사등록 2025/09/09 09:44:09

최종수정 2025/09/09 09:52:24

日 측 관계자 "韓 측 오지 않아 유감"

[사도=AP/뉴시스] 한국 정부가 불참 입장을 표명했으나 일본 측은 사도광산(佐渡金山) 추도식을 13일 예정대로 진행할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일본 정부와 별도로 사도 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이 열리고 있는 모습. 2025.09.08.
[사도=AP/뉴시스] 한국 정부가 불참 입장을 표명했으나 일본 측은 사도광산(佐渡金山) 추도식을 13일 예정대로 진행할 입장을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25일 일본 니가타현 사도 광산 인근 조선인 기숙사 터에서 일본 정부와 별도로 사도 광산 강제동원 한국인 희생자 추도식이 열리고 있는 모습. 2025.09.08.

[서울=뉴시스] 김예진 박준호 기자 = 한국 정부가 불참 입장을 표명했으나 일본 측은 사도광산(佐渡金山) 추도식을 13일 예정대로 진행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9일 주니치신문에 따르면 전날 니가타(新潟)현 등은 사도광산의 한반도 출신을 포함한 모든 노동자의 추도식을 13일에 개최하겠다고 밝혔다.

니가타현에 따르면 추도식 참석 인원은 약 80명이다.

니가타현과 니가타시, 민간단체로 구성된 추도식 실행위원회 관계자는 신문에 "올해도 한국 측이 오지 않아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4일 한국 정부는 13일 일본 측이 주최하는 사도광산 추도식에 불참을 결정하고 공식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추도식 관련 한일 간 협의의 핵심 쟁점은 추도사 내용 중 '강제성' 관련 표현에 대한 것이었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우리 정부는 고인이 된 사도광산 한국인 노동자에 대한 합당한 애도가 있으려면 그 고난의 근원과 성격이 무엇이었는지를 언급하지 않을 수 없다고 봤다"며 "즉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을 갖출 수 있다고 판단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러나 양측의 추도사 내용,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표현에 대해 접점을 찾지 못했다"고 말했다.

사도광산 추도식은 일본 정부가 지난해 7월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때 한국 정부의 동의를 얻기 위해 매년 7~8월 사도섬에서 중앙정부 인사 참석 하에 사도광산의 모든 노동자들을 위한 추도식을 열 것을 약속한 사안이다.

그러나 지난해 11월 일본에서 열린 추도식은 양국 정부 간 행사의 명칭, 추도사 내용 등을 둘러싼 갈등 끝에 한국 측 불참으로 파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韓 불참 표명에도 日당국 "13일 사도광산 추도식 개최"

기사등록 2025/09/09 09:44:09 최초수정 2025/09/09 09:52: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