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생리의학상 이어 화학상까지…올해 두 번째 노벨상 수상

기사등록 2025/10/08 23:11:48

최종수정 2025/10/08 23:44:36

교토대 기타가와 교수, MOF 개발로 노벨화학상 수상

일본, 개인 기준 30번째 노벨상 수상자 배출

[서울=뉴시스]2025년 노벨 화학상이 금속·유기 골격체(MOF·Metal-Organic Frameworks) 개발에 선구적 역할을 한 세계적 화학자 3인에게 공동 수여됐다. 사진은 왼쪽부터 올해 수상자 일본 교토대의 기타가와 스스무(74) 교수, 호주 멜버른대의 리처드 롭슨(88) 교수, 미국 UC버클리의 오마르 M.야기(60) 교수. <사진출처: 노벨상위원회> 2025.10.08
[서울=뉴시스]2025년 노벨 화학상이 금속·유기 골격체(MOF·Metal-Organic Frameworks) 개발에 선구적 역할을 한 세계적 화학자 3인에게 공동 수여됐다. 사진은 왼쪽부터 올해 수상자 일본 교토대의 기타가와 스스무(74) 교수, 호주 멜버른대의 리처드 롭슨(88) 교수, 미국 UC버클리의 오마르 M.야기(60) 교수. <사진출처: 노벨상위원회> 2025.10.08

[서울=뉴시스]박미선 기자 = 일본이 노벨 생리의학상에 이어 화학상까지 수상하며 올해 두 번째 노벨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8일 일본 요미우리신·마이니치신문 등에 따르면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위원회는 기타가와 스스무(74) 교토대 특별교수, 리처드 롭슨(88)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M. 야기(60) 미국 UC버클리대 교수에게 2025년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여했다.

기타가와 교수는 수상 결정 직후 스웨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 전화로 참석해 "다공성 재료가 실제로 존재 가능한 기술로 사회에 인정받기까지 오랜 시간이 걸렸고, 매우 큰 노력이 필요했다"며 "오랜 세월에 걸친 연구가 이렇게 평가받게 돼 대단히 영광스럽다"고 소감을 밝혔다.

위원회는 이들이 금속유기구조체(MOF)를 설계하고 발전시킨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 기타가와 교수는 1980~1990년대 금속 이온과 유기 분자를 조합해, 나노 크기의 미세한 구멍을 지닌 다공성 물질 MOF를 합성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MOF는 넓은 표면적과 우수한 기체 흡착 능력을 갖춰, 기체 저장·분리·촉매·센서·약물 전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성이 주목받고 있다. 특히 천연가스 저장이나 온실가스 분리·회수 등 에너지·환경 분야에서의 응용 잠재력이 높게 평가됐다. 이번 수상은 1989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초 연구가 수십 년 만에 결실을 맺은 결과로 풀이된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논평을 내고 기타가와 교수의 노벨상 수상을 축하하며, "독창적인 발상으로 진리를 탐구해 인류 사회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크게 기여한 점이 세계적으로 인정받은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번 수상은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사카구치 시몬(74) 오사카대 명예교수에 이어 일본인으로서는 올해 두 번째 노벨상 수상이다. 이로써 일본은 개인 기준으로 30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게 됐으며, 화학상 부문에서는 2019년 요시노 아키라 이후 9번째 수상자가 된다. 단체 수상까지 포함하면 일본의 노벨상 기록은 31번째다. '일본원수폭피해자단체협의회'가 지난해 노벨평화상을 받은 바 있다.

한편 올해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은 총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 6500만원)의 상금을 3등분해 나누게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日, 생리의학상 이어 화학상까지…올해 두 번째 노벨상 수상

기사등록 2025/10/08 23:11:48 최초수정 2025/10/08 23:44:36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