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그룹, 엔비디아 손잡고 피지컬 AI 혁신 시동 건다

기사등록 2025/10/31 15:00:00

최종수정 2025/10/31 17:50:24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 기술 고도화

30억 달러 투자…국내 생태계 조성

차량·공장 통합 지능형 플랫폼 구축

정의선·젠슨 황, 글로벌 AI 리더십 강화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 참석해 어깨동무를 하고 있다. 2025.10.30.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엔비디아 지포스 게이머 페스티벌에 참석해 어깨동무를 하고 있다. 2025.10.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유희석 기자 =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31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APEC 현장에서 엔비디아의 최신 인공지능(AI) 반도체 블랙웰 기반의 AI 팩토리를 도입, 자율주행차·스마트팩토리·로보틱스 혁신을 위한 협력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양사는 기존 협력을 넘어 첨단 소프트웨어와 인프라를 결합해 핵심 피지컬 AI 기술의 공동 혁신에 나선다. 블랙웰 GPU 5만장을 활용한 통합 AI 모델 개발·검증·실증을 추진하며, 정부의 피지컬 AI 클러스터 구축에도 협력할 예정이다.

피지컬 AI에 30억 달러 투자

현대차그룹과 엔비디아는 약 30억 달러(한화 약 4조3000억원)를 들여 ▲엔비디아 AI 기술센터 ▲현대차그룹 피지컬 AI 애플리케이션센터 ▲데이터센터 등을 국내에 세운다. 이를 통해 AI 인재 양성 및 기술 교류를 확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현대차그룹·엔비디아는 이날 국내 피지컬 AI 고도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한국의 제조 데이터와 엔비디아 인프라 결합으로 산업 전반의 혁신이 가속화될 것"이라 말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AI 기반 모빌리티·스마트팩토리 시대를 선도하고,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함께 구축하겠다"고 밝혔으며,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지능형 자동차와 공장을 함께 구현해 수조달러 규모의 모빌리티 산업을 만들어갈 것"이라 강조했다.

AI 팩토리, 디지털 트윈 혁신 가속

현대차그룹은 블랙웰 기반 AI 팩토리를 중심으로 차량 AI, 자율주행, 생산 효율화, 로보틱스를 통합한 생태계를 구축한다.

이를 위해 ▲DGX(대규모 학습) ▲옴니버스(디지털 트윈 시뮬레이션) ▲드라이브 AGX 토르(실시간 지능 구현) 등 엔비디아 플랫폼을 활용한다.

옴니버스 기반 디지털 트윈은 실제 공장을 3D로 구현해 정밀 제어, 가상 검증, 예지보전 등 완전 자율형 공장으로의 전환을 앞당긴다. 또 아이작 심(Sim)을 활용해 휴머노이드·로보틱스 시스템을 가상 검증하고 생산성을 높인다.

현대차그룹은 지역별 주행환경 디지털 트윈으로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엔비디아 네모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OTA(무선 업데이트) 방식으로 차량 기능을 지속 개선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현대차그룹, 엔비디아 손잡고 피지컬 AI 혁신 시동 건다

기사등록 2025/10/31 15:00:00 최초수정 2025/10/31 17:50: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