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코스피서 2.4조 순매수…대형 주도주 '사자'
네이버, 순매수 상위 중 유일한 반등…최대실적·AI 모멘텀 부각
코스닥은 바이오·로봇·2차전지주 집중 매수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121.74)보다 117.32포인트(2.85%) 내린 4004.42에 마감한 5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종가가 표시되어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926.57)보다 24.68포인트(2.66%) 하락한 901.89,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37.9원)보다 11.5원 오른 1449.4원에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2025.11.05. 20hwa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05/NISI20251105_0021045806_web.jpg?rnd=20251105155752)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121.74)보다 117.32포인트(2.85%) 내린 4004.42에 마감한 5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전광판에 종가가 표시되어 있다.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926.57)보다 24.68포인트(2.66%) 하락한 901.89,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주간거래 종가(1437.9원)보다 11.5원 오른 1449.4원에 주간 거래를 마무리했다. 2025.11.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국내 증시가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는 등 패닉 장세를 보인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은 이를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며 3조원이 넘는 주식 순매수에 나선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은 코스피에서 반도체, 원전, 방산, 조선, 2차전지 등 그간 지수 상승을 이끌었던 대형주를 적극 매수했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 로봇, 2차전지 등 테마주에 매수세를 집중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는 2.85%(117.32포인트) 급락한 4004.42에 마감했다. 이날 개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2조4161억원, 코스닥 시장에서 6641억원 등 총 3조원 넘게 사자에 나섰다.
코스피서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SK하이닉스로, 순매수 규모는 7761억원에 달했다. SK하이닉스는 장중 한때 53만2000원(-9.21%)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58만7000원까지 반등하며 상승 전환을 시도했다. 다만 종가는 1.19% 하락해 낙폭을 줄이는데 만족해야 했다.
2위는 대장주 삼성전자로, 개인이 이날 3142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이외에도 두산에너빌리티(2269억원), LG씨엔에스(1562억원), 한화솔루션(1211억원), 네이버(1027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04억원), 한화오션(965억원), 삼성SDI(590억원), LS일렉트릭(503억원) 등이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에 포함됐다.
이 중 네이버는 4.31% 상승 마감하며, 순매수 상위 종목 가운데 유일하게 오름세를 보였다. 네이버는 장중 25만6500원(-2.84%)까지 하락했지만, 오후 들어 매수세가 대거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이는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발표와 함께 컨퍼런스콜에서 엔비디아와의 협력 가능성을 언급하며 인공지능(AI) 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영향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올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한 3조1381억원, 영업이익은 8.6% 늘어난 570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김희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내년 이후 피지컬 인공지능(AI) 공략 등 신규 사업 확대를 고려하면 그래픽처리장치(GPU)에만 1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엔비디아로부터 받은 GPU 6만 장 활용도 이 범주 내에서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달 31일 엔비디아와 현실공간과 디지털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조선·에너지·바이오·방산 등 주요 산업의 AX(산업 지능화)를 주도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코스닥 시장에선 에코프로(659억원)가 개인 순매수 1위를 차지했다. 로보티즈(622억원), 레인보우로보틱스(622억원), 에이비엘바이오(396억원), 알테오젠(353억원), 지투지바이오(209억원), 펩트론(193억원), 프로티나(139억원), ISC(109억원), 엘앤씨바이오(102억원) 등 로봇·바이오 종목들이 상위권에 포진했다.
증권가에선 이번 하락을 과열에 따른 '단기 조정'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정부의 증시 정상화 정책, 반도체 업황 개선, 유동성 환경 등 중장기 투자 여건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에서다.
임정은 KB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국내외 실적 시즌과 맞물리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됐고, 이로 인해 차익실현 매물과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했다"며 "여기에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기대 약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모멘텀 소멸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한국 증시는 여전히 강한 상승 흐름 속에 있으며,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이 불가피하더라도 그 폭과 기간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역대 강세장에서도 고점 대비 10% 안팎의 조정은 있었던 일"이라며 "펀더멘털이나 정부의 증시 정상화 정책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오늘처럼 급락장이 나왔다고 해서 패닉셀링으로 대응하는 건 지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개인은 코스피에서 반도체, 원전, 방산, 조선, 2차전지 등 그간 지수 상승을 이끌었던 대형주를 적극 매수했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바이오, 로봇, 2차전지 등 테마주에 매수세를 집중했다.
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코스피는 2.85%(117.32포인트) 급락한 4004.42에 마감했다. 이날 개인은 코스피 시장에서 2조4161억원, 코스닥 시장에서 6641억원 등 총 3조원 넘게 사자에 나섰다.
코스피서 개인투자자가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SK하이닉스로, 순매수 규모는 7761억원에 달했다. SK하이닉스는 장중 한때 53만2000원(-9.21%)까지 하락했으나 이후 58만7000원까지 반등하며 상승 전환을 시도했다. 다만 종가는 1.19% 하락해 낙폭을 줄이는데 만족해야 했다.
2위는 대장주 삼성전자로, 개인이 이날 3142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이외에도 두산에너빌리티(2269억원), LG씨엔에스(1562억원), 한화솔루션(1211억원), 네이버(1027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004억원), 한화오션(965억원), 삼성SDI(590억원), LS일렉트릭(503억원) 등이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에 포함됐다.
이 중 네이버는 4.31% 상승 마감하며, 순매수 상위 종목 가운데 유일하게 오름세를 보였다. 네이버는 장중 25만6500원(-2.84%)까지 하락했지만, 오후 들어 매수세가 대거 유입되며 반등에 성공했다.
이는 3분기 사상 최대 실적 발표와 함께 컨퍼런스콜에서 엔비디아와의 협력 가능성을 언급하며 인공지능(AI) 사업에 대한 자신감을 드러낸 영향으로 풀이된다. 네이버는 올 3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5.6% 증가한 3조1381억원, 영업이익은 8.6% 늘어난 5706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김희철 네이버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이날 3분기 컨퍼런스콜에서 "내년 이후 피지컬 인공지능(AI) 공략 등 신규 사업 확대를 고려하면 그래픽처리장치(GPU)에만 1조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엔비디아로부터 받은 GPU 6만 장 활용도 이 범주 내에서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네이버는 지난달 31일 엔비디아와 현실공간과 디지털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피지컬 AI'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조선·에너지·바이오·방산 등 주요 산업의 AX(산업 지능화)를 주도하겠다는 구상을 밝힌 바 있다.
코스닥 시장에선 에코프로(659억원)가 개인 순매수 1위를 차지했다. 로보티즈(622억원), 레인보우로보틱스(622억원), 에이비엘바이오(396억원), 알테오젠(353억원), 지투지바이오(209억원), 펩트론(193억원), 프로티나(139억원), ISC(109억원), 엘앤씨바이오(102억원) 등 로봇·바이오 종목들이 상위권에 포진했다.
증권가에선 이번 하락을 과열에 따른 '단기 조정'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정부의 증시 정상화 정책, 반도체 업황 개선, 유동성 환경 등 중장기 투자 여건은 여전히 유효하다는 판단에서다.
임정은 KB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는 국내외 실적 시즌과 맞물리며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됐고, 이로 인해 차익실현 매물과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했다"며 "여기에 연준의 추가 금리인하 기대 약화,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모멘텀 소멸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한국 증시는 여전히 강한 상승 흐름 속에 있으며, 단기 급등에 따른 조정이 불가피하더라도 그 폭과 기간은 제한적일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역대 강세장에서도 고점 대비 10% 안팎의 조정은 있었던 일"이라며 "펀더멘털이나 정부의 증시 정상화 정책 모멘텀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오늘처럼 급락장이 나왔다고 해서 패닉셀링으로 대응하는 건 지양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