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자택서 '로저비비에 가방', 편지 발견"
"특검, 청탁금지법 위반 의혹으로 수사해야"
![[서울=뉴시스]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11/05/NISI20251105_0001985273_web.jpg?rnd=20251105173732)
[서울=뉴시스]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정금민 기자 =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9일 "윤석열 자택에서 김기현 전 국민의힘 대표 측이 전달한 '로저 비비에' 명품백이 특검의 압수수색 과정에서 발견됐다"며 "'윤심'(윤석열 전 대통령의 마음)의 전당대회 개입 의혹에 대한 '대가성'을 입증하는 '스모킹 건'"이라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전 대표와 김건희는 입이라도 맞춘 듯 '사회적 예의 차원'의 선물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예의가 아니라 대가성 상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 6일 김건희 여사의 자택을 압수수색 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명품 브랜드 로저비비에 가방을 압수한 바 있다. 당시 현장에는 김 전 대표의 배우자가 작성한 '당선을 도와주셔서 감사하다'는 내용의 메모지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표는 입장문을 내고 "신임 여당 대표 배우자로서 대통령의 부인에게 사회적 예의 차원에서 선물을 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번 '로저 비비에백'은 디올백 의혹이 불거지기 전인 2023년 3월에 전달됐다"며 "이는 김건희가 고가의 명품을 스스럼없이 주고받는 것이 일회성 실수가 아니라, 이미 '상습적 관행'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김 전 대표가 당선되던 때로 시계를 돌려보면,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 승리를 이끌었던 이준석 전 대표를 몰아내고 '연판장' 파동으로 나경원 의원을 찍어 눌렀다"며 "급기야 '당원 100%'로 룰을 변경하며 국민의 참여 기회를 박탈하고 오로지 '윤심'의 낙점을 받은 후보를 당 대표로 만든 것이 바로 김 전 대표 선출의 전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모든 비정상적인 과정을 통해 당 대표가 되고 '당선을 도와줘 감사하다'는 메시지와 함께 전달한 명품백을, 어찌 단순한 '사회적 예의'라 변명할 수 있느냐"라고 물었다.
김 원내대변인은 "특검은 '사회적 예의'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이 '대가성 상납' 의혹에 대해 한 점 의혹 없이 수사해야 한다"며 "공정한 정당 활동을 침해하고 공직자의 청렴 의무를 정면으로 위배한 청탁금지법 및 정당법 위반의 중대 범죄 의혹"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김 원내대변인은 이날 국회 소통관에서 브리핑을 열고 "김 전 대표와 김건희는 입이라도 맞춘 듯 '사회적 예의 차원'의 선물이었다고 주장하지만 예의가 아니라 대가성 상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지난 6일 김건희 여사의 자택을 압수수색 하는 과정에서 프랑스 명품 브랜드 로저비비에 가방을 압수한 바 있다. 당시 현장에는 김 전 대표의 배우자가 작성한 '당선을 도와주셔서 감사하다'는 내용의 메모지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김 전 대표는 입장문을 내고 "신임 여당 대표 배우자로서 대통령의 부인에게 사회적 예의 차원에서 선물을 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다.
김 원내대변인은 "이번 '로저 비비에백'은 디올백 의혹이 불거지기 전인 2023년 3월에 전달됐다"며 "이는 김건희가 고가의 명품을 스스럼없이 주고받는 것이 일회성 실수가 아니라, 이미 '상습적 관행'이었음을 입증하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김 전 대표가 당선되던 때로 시계를 돌려보면, 대통령선거와 지방선거 승리를 이끌었던 이준석 전 대표를 몰아내고 '연판장' 파동으로 나경원 의원을 찍어 눌렀다"며 "급기야 '당원 100%'로 룰을 변경하며 국민의 참여 기회를 박탈하고 오로지 '윤심'의 낙점을 받은 후보를 당 대표로 만든 것이 바로 김 전 대표 선출의 전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이 모든 비정상적인 과정을 통해 당 대표가 되고 '당선을 도와줘 감사하다'는 메시지와 함께 전달한 명품백을, 어찌 단순한 '사회적 예의'라 변명할 수 있느냐"라고 물었다.
김 원내대변인은 "특검은 '사회적 예의'라는 이름으로 포장된 이 '대가성 상납' 의혹에 대해 한 점 의혹 없이 수사해야 한다"며 "공정한 정당 활동을 침해하고 공직자의 청렴 의무를 정면으로 위배한 청탁금지법 및 정당법 위반의 중대 범죄 의혹"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