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자 4명 매몰' 울산발전소 4·6호 발파 현장
소음·진동·분진에 "이렇게 위험한 곳이라니…"
![[울산=뉴시스] 김선웅 기자 = 11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와 실종자 구조를 위해 4·6호기의 발파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5.11.11. mangusta@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1/NISI20251111_0021053013_web.jpg?rnd=20251111123731)
[울산=뉴시스] 김선웅 기자 = 11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와 실종자 구조를 위해 4·6호기의 발파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5.11.11. [email protected]
[울산=뉴시스] 박수지 기자 = '쾅'
11일 낮 12시 울산화력발전소 4·6호기 보일러타워 발파 현장에 거대한 굉음이 울렸다. 사고 현장과 450m 떨어진 취재 구역에서도 진동이 발끝까지 느껴질 정도였다.
순간 녹슨 철골 구조물이 흔들리더니, 단 5초 만에 속절없이 무너져 내렸다.
이후 높이 60m에 달하는 타워 2동은 거대한 먼지 기둥 속으로 사라졌다.
다행히 폭파된 4·6호기는 사망 추정자 및 실종자 4명이 매몰된 5호기 방향으로 쓰러지지는 않았다.
하지만 처참히 구겨진 철근 더미를 바라보자, 지난 6일 5호기 붕괴 당시 작업자 9명이 맞닥뜨렸던 참혹한 순간이 그대로 떠올랐다.
현장을 지켜보던 한 시민은 "저 곳에 아직 가족 품으로 돌아가지 못한 분들이 있다고 하니 마음이 적적하다"며 "우리나라 일터가 이렇게 위험한 곳이라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고 말했다.
![[울산=뉴시스] 김선웅 기자 = 11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와 실종자 구조를 위해 4·6호기의 발파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5.11.11. mangusta@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1/NISI20251111_0021053015_web.jpg?rnd=20251111123731)
[울산=뉴시스] 김선웅 기자 = 11일 울산 남구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5호기 붕괴 사고 현장에서 매몰자와 실종자 구조를 위해 4·6호기의 발파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2025.11.11. [email protected]
이번 폭파는 붕괴된 5호기 양 옆에 위치한 보일러타워 4·6호기를 해체하기 위한 조치다.
사고 당시 4·6호기는 이미 취약화 작업이 각각 100%, 75% 이뤄진 상태였다. 취약화란 구조물 철거 전 타워가 잘 무너질 수 있도록 중간 중간 끼어 있는 기둥과 철골을 잘라내는 작업이다.
이 때문에 2차 붕괴 우려가 지속적으로 제기됐고, 크레인 등 대형장비 투입도 불가능했다. 작업자 4명이 여전히 매몰된 상황 속 결국 4·6호기 발파가 지난 7일 결정됐다.
발파 1시간 전 울산시는 재난문자를 통해 "발파작업으로 폭발음과 진동이 예상되오니 현장 접근금지 등 안전에 유의해 달라"고 안내했다.
소방당국은 안전이 확보된 이후 대형 크레인을 동원해 매몰된 4명에 대한 구조·수색작업을 벌인다.
우선 구조견과 매몰 탐지기 등을 활용해 사망 추정자들이 발견된 지점부터 실종자(2명) 수색에 나설 계획이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2분께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타워 3기(4·5·6호기) 중 5호기가 붕괴됐다.
당시 작업자 9명 중 8명은 60m 높이 구조물의 25m 지점에서 작업 중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나머지 한명은 구조물 외부에서 작업 중이었다. 사고 직후 2명은 곧바로 구조돼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이번 사고로 인명피해는 사망 3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2명, 부상 2명이다.
붕괴된 구조물은 연료를 태워 스팀을 생산한 뒤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시설이다. 1981년 준공된 후 2021년 가동이 중단됐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