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5년간 450조…SK도 128조 이상 적극 투자
현대차 125.2조·LG도 100조 이상 투자 계획 중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참모진과 재계 총수들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11.16.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6/NISI20251116_0021061125_web.jpg?rnd=20251116150130)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참모진과 재계 총수들이 1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한미 관세협상 후속 민관 합동회의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발언을 듣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11.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삼성·SK·현대차·LG 등 국내 주요 기업들이 국내에서도 대규모 투자에 나선다.
한국과 미국 간 '조인트 팩트시트(JFS)' 최종 확정 이후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한편,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내 생산기반 확보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AI)용 메모리 수요 폭증 상황에 대응한 통큰 투자가 이어질 전망이다. 투자 규모도 역대급으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클 전망이다. 특히 이번 투자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집행되며,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날 향후 5년간 R&D(연구개발)를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는 메모리 수요 대응을 위해 평택캠퍼스 2단지 5라인의 공사에 본격 돌입한다.
조만간 골조 공사를 시작으로, 생산 인프라 확보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공장은 오는 2028년 가동돼,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 기지인 평택사업장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R&D(연구개발)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며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데 삼성은 지난 9월 약속한대로 향후 5년간 6만명씩 국내에서 고용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SK그룹도 오는 2028년까지 128조원 이상을 국내에 투자한다.
최 회장은 이날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용인 팹(공장)만으로도 600조원 정도의 투자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12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직전 5년간 집행한 89조1000억원보다 36조1000억원 늘어난 규모로, 연평균 투자액은 25조원을 넘는다. 기존 대비 40% 이상 확대된 역대 최대 수준이다.
LG그룹도 향후 5년간 100조원을 국내에 투자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이 중 60%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과 확장에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HD현대는 향후 5년간 약 15조원의 국내 투자를 진행한다. 에너지 분야와 AI 시대 로봇 사업에 8조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원을 투입한다. 한화그룹은 국내 조선과 방산 분야에서만 향후 5년간 1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투자는 비수도권 지역에 집중될 전망이다. 삼성은 삼성전자의 플랙트그룹 광주시 공장, 삼성SDS 전남 국가 컴퓨팅센터·구미 AI데이터센터,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등에서 투자가 진행된다. SK그룹도 영남·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셀트리온은 3년간 인천 송도, 충북 오창, 충남 예산에 총 4조원의 시설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한국과 미국 간 '조인트 팩트시트(JFS)' 최종 확정 이후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는 한편,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국내 생산기반 확보에도 만전을 기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특히 최근 인공지능(AI)용 메모리 수요 폭증 상황에 대응한 통큰 투자가 이어질 전망이다. 투자 규모도 역대급으로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 바가 클 전망이다. 특히 이번 투자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집행되며, 균형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16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은 이날 향후 5년간 R&D(연구개발)를 포함한 국내 투자에 총 450조원을 투입한다고 발표했다.
삼성전자는 전 세계적으로 품귀 현상을 빚는 메모리 수요 대응을 위해 평택캠퍼스 2단지 5라인의 공사에 본격 돌입한다.
조만간 골조 공사를 시작으로, 생산 인프라 확보 투자가 이뤄질 전망이다. 공장은 오는 2028년 가동돼,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 기지인 평택사업장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R&D(연구개발)도 포함해 국내 시설 투자를 더욱 적극적으로 해나가겠다"며 "경제 상황이 녹록지 않은데 삼성은 지난 9월 약속한대로 향후 5년간 6만명씩 국내에서 고용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SK그룹도 오는 2028년까지 128조원 이상을 국내에 투자한다.
최 회장은 이날 "반도체 메모리 수요 증가와 공정 첨단화 등으로 투자비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며 "용인 팹(공장)만으로도 600조원 정도의 투자가 앞으로 계속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은 내년부터 2030년까지 5년간 국내에 125조2000억원을 투자한다. 직전 5년간 집행한 89조1000억원보다 36조1000억원 늘어난 규모로, 연평균 투자액은 25조원을 넘는다. 기존 대비 40% 이상 확대된 역대 최대 수준이다.
LG그룹도 향후 5년간 100조원을 국내에 투자한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은 "이 중 60%를 소재·부품·장비 기술 개발과 확장에 투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HD현대는 향후 5년간 약 15조원의 국내 투자를 진행한다. 에너지 분야와 AI 시대 로봇 사업에 8조원, 조선해양 분야에 7조원을 투입한다. 한화그룹은 국내 조선과 방산 분야에서만 향후 5년간 11조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기업들의 투자는 비수도권 지역에 집중될 전망이다. 삼성은 삼성전자의 플랙트그룹 광주시 공장, 삼성SDS 전남 국가 컴퓨팅센터·구미 AI데이터센터, 삼성디스플레이는 충남 아산사업장, 삼성전기 부산사업장 등에서 투자가 진행된다. SK그룹도 영남·서남권에 AI 데이터센터 건립을 추진 중이다. 셀트리온은 3년간 인천 송도, 충북 오창, 충남 예산에 총 4조원의 시설 투자에 나설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