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명령 서명…4일 시행(종합)

기사등록 2025/02/02 07:59:16

최종수정 2025/02/02 11:10:24

캐나다·멕시코 수입품 25%, 중국산 10% 추가관세

미국 내부로 불법이민 및 펜타닐 유입 차단 목적

보복 관세엔 재보복…멕시코 진출 韓기업도 타격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2.01.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1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02.01.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일(현지 시간)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예정대로 강행했다.

AP통신과 뉴욕타임스(NYT)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플로리다주 마러라고 자택에서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오는 모든 수입품에 각각 25%, 중국산 제품에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3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통상 관세는 시장간 국가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해 사용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내 불법이민자와 마약 문제 해결을 위해 이번 관세 조치를 동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승리 후 미국과 국경을 맞댄 캐나다와 멕시코가 불법이민과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충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는다며 25% 관세를 예고했다. 펜타닐 원료가 만들어지고 있는 중국에도 10% 관세 부과를 언급했다.

상대국들이 조치를 취하도록 압박하기 위한 전술이었고, 실제 물밑에서 지속적인 협상이 이뤄졌다. 하지만 마감시한으로 정한 이날까지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자 관세 부과를 강행한 모습이다.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을 보면, 이번 관세는 오는 4일 오전 0시1분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다만 캐나다산 에너지 자원에 대해서는 25%가 아니라 10%의 추가 관세만 적용한다고 적시됐다. 관세 부과에 따른 물가상승을 우려한 조치다.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서 오는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1일(현지 시간) 캐나다 오타와의 한 호텔 외부에 성조기와 캐나다 국기가 함께 걸려있는 모습. 2025.02.02.
[워싱턴=AP/뉴시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서 오는 모든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1일(현지 시간) 캐나다 오타와의 한 호텔 외부에 성조기와 캐나다 국기가 함께 걸려있는 모습. 2025.02.02.
캐나다와 멕시코 등이 관세 부과에는 강경히 대응하겠다고 보복 방침을 밝힌 가운데, 보복에는 재보복으로 대응한다는 내용도 행정명령에 포함됐다.

캐나다에 대한 행정명령을 보면 "만약 캐나다가 이번 조치에 대한 대응으로 미국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거나 비슷한 조치를 취해 보복하는 경우, 대통령은 이 조치 효과를 보장하기 위해 관세를 인상하거나 범위를 확대할 수 있다"고 명시됐다.

이번 조치가 지속될 경우 멕시코에 공장을 둔 한국 기업들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멕시코에는 기아자동차와 삼성전자, LG전자, 포스코 등이 진출해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트럼프,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명령 서명…4일 시행(종합)

기사등록 2025/02/02 07:59:16 최초수정 2025/02/02 11:10: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