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후보와 단일화…이준석·이낙연 등과도 '반명 빅텐트'
임기 3년으로 단축하고 분권형 개헌하자는 이슈도 제시할 듯
단일화 과정 정치력 발휘할지 미지수…네거티브 공세 방어도 숙제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2025.05.01.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01/NISI20250501_0020793557_web.jpg?rnd=20250501161251)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 담화를 하고 있다. 2025.05.0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윤아 기자 =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일 사임하면서 향후 구체적으로 어떤 방향으로 대선 행보를 할지 관심이 모아진다. 당장 국민의힘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와 범보수진영의 반(反)이재명 빅텐트 구축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임기 단축 개헌도 제시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대행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중책을 내려놓고 더 큰 책임을 지는 길,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 제가 해야 하는 일을 하고자 저의 직을 내려놓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오는 2일 오전 국회에서 무소속으로 대선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참모진은 이미 여의도 국회 인근에 캠프를 마련하고 본격적인 대선 준비에 박차를 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행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선 예비 후보로 등록한 후 오는 3일 결정될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상대로 한 단일화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한 대행과 국민의힘 대선후보 간 단일화가 신속하게 마무리될 수 있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대선일인 6월 3일까지 불과 한달 여 남은데다가 기호 2번을 배정받기 위해서는 후보등록일인 이달 11일 전에는 후보를 최종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의원들 중 상당수가 한 대행과의 단일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당내 여론형성에는 큰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국민의힘 경선과정에서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단일화 필요성에 온도차를 보였기 때문에 누가 경선 승자가 되는지, 그리고 한 대행이 단일화의 주도권을 얼마나 가져가는지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단일화와 함께 한 대행은 범보수 후보들을 모두 아우르는 '반이재명 빅텐트' 구성에도 전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한 대행과 국민의힘 후보를 포함해 반이재명으로 뭉친 후보들을 한 곳에 담는 빅텐트 구상인데 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거국내각이나 개헌연대 구상도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개헌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해 2028년 대선과 총선을 함께 치르는 방안이다.
현실정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한 대행이 단기간 내 범보수 후보들을 설득하고 포용한다면 지지율이 상승세를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대 과정에서 보여준 모습으로 중도무당층의 표심을 노려볼 수도 있다.
하지만 빅텐트 완성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낙연 전 총리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등도 연대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상황인데 각자의 이해관계와 이념이 달라 쉽게 묶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당장 이준석 후보는 "지금의 빅텐트는 또 다른 진영팔이에 불과하다"고 선을 긋고 있다. 게다가 시간도 촉박하다.
또 더불어민주당이 정치 초보인 한 대행에게 거친 네거티브 공세를 펼칠 가능성이 큰 만큼 이를 어떻게 방어할지도 두고봐야 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대행과 시너지를 내는 단일화를 한다면 파괴력이 있을 것"이라며 "한 대행 출마로 보수 진영의 활기가 살아날 수 있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한 대행은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대국민담화를 통해 "중책을 내려놓고 더 큰 책임을 지는 길, 우리가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제가 할 수 있는 일, 제가 해야 하는 일을 하고자 저의 직을 내려놓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한 대행은 오는 2일 오전 국회에서 무소속으로 대선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의 참모진은 이미 여의도 국회 인근에 캠프를 마련하고 본격적인 대선 준비에 박차를 가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 대행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선 예비 후보로 등록한 후 오는 3일 결정될 국민의힘 대선후보를 상대로 한 단일화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정치권에서는 한 대행과 국민의힘 대선후보 간 단일화가 신속하게 마무리될 수 있을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대선일인 6월 3일까지 불과 한달 여 남은데다가 기호 2번을 배정받기 위해서는 후보등록일인 이달 11일 전에는 후보를 최종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의원들 중 상당수가 한 대행과의 단일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는 만큼 당내 여론형성에는 큰 무리가 없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다만 국민의힘 경선과정에서 김문수 후보와 한동훈 후보가 단일화 필요성에 온도차를 보였기 때문에 누가 경선 승자가 되는지, 그리고 한 대행이 단일화의 주도권을 얼마나 가져가는지에 따라 속도가 달라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단일화와 함께 한 대행은 범보수 후보들을 모두 아우르는 '반이재명 빅텐트' 구성에도 전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 한 대행과 국민의힘 후보를 포함해 반이재명으로 뭉친 후보들을 한 곳에 담는 빅텐트 구상인데 이를 논의하는 과정에서 거국내각이나 개헌연대 구상도 본격적으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차기 대통령의 임기를 3년으로 단축하는 개헌안을 제시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분권형 대통령제로 개헌해 2028년 대선과 총선을 함께 치르는 방안이다.
현실정치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한 대행이 단기간 내 범보수 후보들을 설득하고 포용한다면 지지율이 상승세를 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연대 과정에서 보여준 모습으로 중도무당층의 표심을 노려볼 수도 있다.
하지만 빅텐트 완성 과정이 순탄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이낙연 전 총리와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 등도 연대의 대상으로 보고 있는 상황인데 각자의 이해관계와 이념이 달라 쉽게 묶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당장 이준석 후보는 "지금의 빅텐트는 또 다른 진영팔이에 불과하다"고 선을 긋고 있다. 게다가 시간도 촉박하다.
또 더불어민주당이 정치 초보인 한 대행에게 거친 네거티브 공세를 펼칠 가능성이 큰 만큼 이를 어떻게 방어할지도 두고봐야 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한 대행과 시너지를 내는 단일화를 한다면 파괴력이 있을 것"이라며 "한 대행 출마로 보수 진영의 활기가 살아날 수 있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