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모건 "2년 내 코스피 5000 도달 가능성"
외국인 5월 이후 순매수 지속…수급 기대감↑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175.77)보다 26.26포인트(0.83%) 오른 3202.03에 장을 마감한 14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니터에 종가가 표시돼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00.47)보다 1.10포인트(0.14%) 하락한 799.37에 거래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75.4원)보다 5.8원 오른 1381.2원에 마감했다. 2025.07.14. myjs@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14/NISI20250714_0020888672_web.jpg?rnd=20250714155903)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3175.77)보다 26.26포인트(0.83%) 오른 3202.03에 장을 마감한 14일 서울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 모니터에 종가가 표시돼 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800.47)보다 1.10포인트(0.14%) 하락한 799.37에 거래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375.4원)보다 5.8원 오른 1381.2원에 마감했다. 2025.07.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미국 투자은행 JP모건이 향후 2년 내 코스피가 5000포인트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놨다.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4000포인트가 상단으로 제시된 가운데 최근 이어지고 있는 외국인 매수세와 함께 코스피를 바라보는 눈높이가 더욱 높아질 지 관심이 모인다.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JP모건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탄력을 받을 경우 코스피가 2년 동안 현재 수준보다 50% 이상 상승할 수 있다”며 “이 경우 5000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 의견은 기존 '중립'에서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전날 코스피는 26.26포인트(0.835) 오른 3202.03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4월 전 저점(2284.72) 대비 40% 넘게 급등했다. JP모건은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지수가 3200~3500포인트 사이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수가 연일 상승세를 보이면서 국내 증권사들의 눈높이가 더욱 상향될 가능성도 관측된다.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앞서 하나증권이 코스피 4000포인트 가능성을 제시하며 가장 낙관적인 시각을 내놓은 바 있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새로운 정부의 주주환원 기대감,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원화 강세 등으로 글로벌 대비 한국 증시의 최악의 디스카운트가 해소되는 중"이라며 "평균 30% 디스카운트 수준인 주가수익비율(PER) 12.6배, 코스피 4000포인트까지도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수급이 지속 유입되고 있는 점도 눈높이 상향의 근거가 될 전망이다. 대선 이후 자본시장 선진화 등 정책 기대에 힘입어 외국인 매수세가 가파르게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코스피에서 1조5440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4월 한 달에만 9조3552억원을 순매도했지만 지난 5월부터 순매수세로 전환해 6월 말까지 코스피에서 3조8582억원을 사들이며 매수 행진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과거에 비해 외국인의 코스피 지분율이 크게 낮아진 점도 향후 매수 여력을 키울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외국인의 코스피 지분율은 지난해 7월 말 35.64%에서 지난달 말 기준 32.31%로 3%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내 외국인 지분율은 현재 금융위기 이후 경험적 밴드의 하단인 30% 초반까지 하락한 상황"이라며 "급격한 달러 강세가 재현되거나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당장 공격적으로 매도할 명분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1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JP모건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한국의 기업 지배구조 개선이 탄력을 받을 경우 코스피가 2년 동안 현재 수준보다 50% 이상 상승할 수 있다”며 “이 경우 5000포인트에 도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 의견은 기존 '중립'에서 '비중 확대'로 상향 조정했다.
전날 코스피는 26.26포인트(0.835) 오른 3202.03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4월 전 저점(2284.72) 대비 40% 넘게 급등했다. JP모건은 올해 남은 기간 동안 지수가 3200~3500포인트 사이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지수가 연일 상승세를 보이면서 국내 증권사들의 눈높이가 더욱 상향될 가능성도 관측된다.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앞서 하나증권이 코스피 4000포인트 가능성을 제시하며 가장 낙관적인 시각을 내놓은 바 있다.
이경수 하나증권 연구원은 "새로운 정부의 주주환원 기대감,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 원화 강세 등으로 글로벌 대비 한국 증시의 최악의 디스카운트가 해소되는 중"이라며 "평균 30% 디스카운트 수준인 주가수익비율(PER) 12.6배, 코스피 4000포인트까지도 회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외국인 수급이 지속 유입되고 있는 점도 눈높이 상향의 근거가 될 전망이다. 대선 이후 자본시장 선진화 등 정책 기대에 힘입어 외국인 매수세가 가파르게 유입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코스피에서 1조5440억원을 순매수하고 있다. 외국인은 지난 4월 한 달에만 9조3552억원을 순매도했지만 지난 5월부터 순매수세로 전환해 6월 말까지 코스피에서 3조8582억원을 사들이며 매수 행진을 이어오고 있다.
특히 과거에 비해 외국인의 코스피 지분율이 크게 낮아진 점도 향후 매수 여력을 키울 수 있는 요인으로 꼽힌다. 외국인의 코스피 지분율은 지난해 7월 말 35.64%에서 지난달 말 기준 32.31%로 3%포인트 넘게 하락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코스피 내 외국인 지분율은 현재 금융위기 이후 경험적 밴드의 하단인 30% 초반까지 하락한 상황"이라며 "급격한 달러 강세가 재현되거나 예상치 못한 돌발 변수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당장 공격적으로 매도할 명분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