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창원 수능출제위원장, 올해 출제 경향 발표
EBS 연계율, 문항수 기준 50%…"체감도 높여"
국어·수학·'사탐런' 등 "선택과목 유불리 최소"
"모의평가 토대…과도한 수험 준비 부담 완화"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창원 수능출제위원장이 1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경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5.11.13.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3/NISI20251113_0021056092_web.jpg?rnd=20251113091018)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김창원 수능출제위원장이 13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경향을 발표하고 있다.. 2025.11.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무서 정예빈 기자 = 김창원 수능출제위원장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이 사교육에 유리한 문항은 배제하고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를 최소화하는 등 고교 교육과정 수준에 맞춰 출제됐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13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수능 출제 경향을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전 영역에서 2015 개정 고등학교 교육과정에 의거해 시행된다"며 "교육과정 내용과 수준을 충실히 반영하고 대학교육에 필요한 수학능력을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출제했다"고 말했다.
이어 "고등학교 교육 정상화에 도움이 되도록 교육과정의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내용을 중심으로 출제했다"며 "교육과정의 핵심적인 내용일 경우 기본 시험에서 다뤄졌더라도 필요한 선에서 질문의 형태와 문제 해결 방식을 바꾸어 출제했다"고 했다.
또 "연계율은 문항수 기준으로 50% 수준에서 연계 체감도를 높여 출제하고자 했다"며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을 배제했으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 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고 말했다.
![[수원=뉴시스] 경기사진공동취재단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뤄진 13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경기도교육청 제30지구 제18시험장 동원동우고등학교에서 수험생이 시험 준비를 하며 기도하고 있다. 2025.11.13.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3/NISI20251113_0021056231_web.jpg?rnd=20251113093058)
[수원=뉴시스] 경기사진공동취재단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치뤄진 13일 오전 수원시 장안구 경기도교육청 제30지구 제18시험장 동원동우고등학교에서 수험생이 시험 준비를 하며 기도하고 있다. 2025.11.13. [email protected]
수능출제위에 따르면 국어는 다양한 내용과 형식의 지문과 자료를 활용해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지식과 기능에 대한 이해력, 학습한 지식과 기능을 다양한 담화나 글에 적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을 중점적으로 측정하고자 했다.
수학 영역은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이나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을 지양하고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개념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을 출제했다.
영어 영역은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한 듣기, 간접 말하기, 읽기, 간접 쓰기 문항을 통해 균형 있는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 김 위원장은 "절대평가 체제에서 1등급 비율이 얼마가 되느냐는 의미가 없고 우리 관심사도 아니다"라며 "학생들의 정확한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탐구 영역은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개념 원리에 대한 이해력과 탐구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능력 및 해당 언어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
김 위원장은 "과도한 수험 준비 부담을 완화하고 학교 교육 내실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행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고려했으며, 작년 수능과 올해 두 차례 시행된 모의평가의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이공계열 학생들이 고득점 획득을 위해 사회탐구 영역을 응시하는 '사탐런' 현상과 국어·수학 등 선택과목별 유불리에 대해선 "사탐런 현상은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영역 간 유불리로까지 퍼진 형태"라며 "선택 과목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했고 학생 입장에서도 본인이 최선을 다해 공부했다면 어떤 과목을 선택하든 원하는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수능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해 온 수험생 여러분 수고 많으셨다.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과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시길 바란다"며 "수험생들을 잘 보살펴 주신 학부모님들 그리고 사랑과 소명으로 지도해 주신 모든 선생님들께 경의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또 오랜 기간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출제위원과 검토위원이 출제 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현장 관리요원들께도 감사를 드린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수학 영역은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이나 반복 훈련으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요소나 공식을 단순하게 적용해 해결할 수 있는 문항을 지양하고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기본 개념에 대한 충실한 이해와 종합적인 사고력을 필요로 하는 문항을 출제했다.
영어 영역은 교육과정 기본 어휘와 시험 과목 수준에서 사용 빈도가 높은 어휘를 사용한 듣기, 간접 말하기, 읽기, 간접 쓰기 문항을 통해 균형 있는 언어 사용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 김 위원장은 "절대평가 체제에서 1등급 비율이 얼마가 되느냐는 의미가 없고 우리 관심사도 아니다"라며 "학생들의 정확한 언어 능력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뒀다"고 설명했다.
탐구 영역은 교육과정 범위 내에서 개념 원리에 대한 이해력과 탐구 능력, 문제 해결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했으며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기본적인 의사소통에 필요한 언어 능력 및 해당 언어권의 문화에 대한 이해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했다.
김 위원장은 "과도한 수험 준비 부담을 완화하고 학교 교육 내실화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현행 교육과정 범위와 수준을 고려했으며, 작년 수능과 올해 두 차례 시행된 모의평가의 결과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출제했다"고 말했다.
이공계열 학생들이 고득점 획득을 위해 사회탐구 영역을 응시하는 '사탐런' 현상과 국어·수학 등 선택과목별 유불리에 대해선 "사탐런 현상은 자신에게 유리한 과목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영역 간 유불리로까지 퍼진 형태"라며 "선택 과목에 따른 유불리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출제했고 학생 입장에서도 본인이 최선을 다해 공부했다면 어떤 과목을 선택하든 원하는 결과를 얻을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수능을 위해 최선을 다해 준비해 온 수험생 여러분 수고 많으셨다. 그동안 갈고 닦은 실력과 기량을 유감없이 발휘하시길 바란다"며 "수험생들을 잘 보살펴 주신 학부모님들 그리고 사랑과 소명으로 지도해 주신 모든 선생님들께 경의와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또 오랜 기간 제한된 공간에서 생활하는 출제위원과 검토위원이 출제 업무에 전념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으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현장 관리요원들께도 감사를 드린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