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청래 "우린 동지이자 전우, 함께 뛰자" 화해 손길
원내지도부 관계자 "鄭 식사 제안 거절? 사실과 다르다"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은 정청래 대표. 2025.09.12. suncho21@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9/12/NISI20250912_0020971739_web.jpg?rnd=20250912101051)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12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은 정청래 대표. 2025.09.1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정금민 신재현 기자 =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대표와 김병기 원내대표 간 냉기류가 이어지고 있다. 양측은 지난 11일 여야의 3대(내란·김건희·순직해병) 특검법 수정안 합의의 책임 소재를 놓고 갈등 양상을 보였는데, 12일에도 냉랭한 분위기는 계속됐다.
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쟁점 사항이 원안대로 처리된 3대 특검법을 두고 "당장은 우여곡절이 많은 것처럼 보여도 결국 역사는 하나의 큰 물줄기로 흘러간다"고 했다.
이어 "우리 안의 작은 차이가 상대방과의 차이보다 크겠나. 우리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생사고락을 함께 한 전우이자 동지"라며 "당·정·대(여당·정부·대통령실)가 찰떡같이 뭉쳐 단단하게 원 팀, 원 보이스로 완전한 내란 종식과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함께 뛰자"고 말했다.
정 대표는 전날 3대 특검법 개정안 여야 협상안을 두고 "수용할 수 없었고, 지도부의 뜻과도 다르다"며 김병기 원내대표를 향해 이견을 드러냈고 이에 김 원내대표는 "공개 사과하라고 하라"고 말해 갈등설이 불거진 바 있다.
하지만 김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 공개 발언 과정에서 전날 있었던 일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피한 채 미국의 한국인 구금 사태 등 현안만 언급했다. 정 대표와 대화를 나누거나 소통하는 모습도 따로 포착되지 않았다.
공개 충돌로 인한 냉랭한 분위기가 이날까지 이어진 가운데 정 대표를 비롯한 일부 당직자들이 전날 저녁 식사를 함께 했으나 김 원내대표 등 원내대표단이 이 자리에 참석하지 않은 사실이 알려졌다.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김 원내대표가) 식사를 거절한 것이 아니다"라며 "당 지도부 관계자가 전날(11일) 본회의장에서 김 원내대표에게 '저녁에 식사 한번 하시죠'라고 얘기했고, 김 원내대표는 '원래 저녁에 (잡힌) 약속이 있다, 오늘은 안 되겠는데 다음에 먹자'고 한 것이 전부다. (당 지도부 관계자가) 정 대표와 식사를 하자는 얘기가 아니었다"고 했다.
여당의 내분이 길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초에 대통령실 등을 뒷받침해야 할 당 지도부가 분열한다면 국정 운영에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만큼 당 지도부와 원내대표단이 거듭 '원팀'을 강조하는 행보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정기국회에서 당 지도부와 원내 지도부가 호흡을 맞춰야 할 일이 많은 만큼 털어내고 앞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쟁점 사항이 원안대로 처리된 3대 특검법을 두고 "당장은 우여곡절이 많은 것처럼 보여도 결국 역사는 하나의 큰 물줄기로 흘러간다"고 했다.
이어 "우리 안의 작은 차이가 상대방과의 차이보다 크겠나. 우리는 죽을 고비를 넘기며 생사고락을 함께 한 전우이자 동지"라며 "당·정·대(여당·정부·대통령실)가 찰떡같이 뭉쳐 단단하게 원 팀, 원 보이스로 완전한 내란 종식과 이재명 정부 성공을 위해 함께 뛰자"고 말했다.
정 대표는 전날 3대 특검법 개정안 여야 협상안을 두고 "수용할 수 없었고, 지도부의 뜻과도 다르다"며 김병기 원내대표를 향해 이견을 드러냈고 이에 김 원내대표는 "공개 사과하라고 하라"고 말해 갈등설이 불거진 바 있다.
하지만 김 원내대표는 최고위원회의 공개 발언 과정에서 전날 있었던 일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피한 채 미국의 한국인 구금 사태 등 현안만 언급했다. 정 대표와 대화를 나누거나 소통하는 모습도 따로 포착되지 않았다.
공개 충돌로 인한 냉랭한 분위기가 이날까지 이어진 가운데 정 대표를 비롯한 일부 당직자들이 전날 저녁 식사를 함께 했으나 김 원내대표 등 원내대표단이 이 자리에 참석하지 않은 사실이 알려졌다.
원내지도부 관계자는 "(김 원내대표가) 식사를 거절한 것이 아니다"라며 "당 지도부 관계자가 전날(11일) 본회의장에서 김 원내대표에게 '저녁에 식사 한번 하시죠'라고 얘기했고, 김 원내대표는 '원래 저녁에 (잡힌) 약속이 있다, 오늘은 안 되겠는데 다음에 먹자'고 한 것이 전부다. (당 지도부 관계자가) 정 대표와 식사를 하자는 얘기가 아니었다"고 했다.
여당의 내분이 길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이재명 정부 출범 초에 대통령실 등을 뒷받침해야 할 당 지도부가 분열한다면 국정 운영에 동력을 잃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만큼 당 지도부와 원내대표단이 거듭 '원팀'을 강조하는 행보에 나설 것이라는 전망이다.
당 지도부 관계자는 "정기국회에서 당 지도부와 원내 지도부가 호흡을 맞춰야 할 일이 많은 만큼 털어내고 앞으로 나아가게 될 것"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