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K하닉 합산 시총 1000조원 첫 돌파
'수익성 갑' HBM에 범용 D램도 가격 상승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삼성전자가 2025년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매출 86조원, 영업이익 12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 됐다고 발표했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매출은 8.72%, 영업이익은 31.81%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이익이 각각 15.33%, 158.55%씩 늘었다. 삼성전자가 10조 영업이익을 회복한 것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2025.10.14. yes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14/NISI20251014_0021013534_web.jpg?rnd=20251014130348)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삼성전자가 2025년 3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한 14일 서울 삼성전자 서초사옥의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삼성전자는 올해 3분기 매출 86조원, 영업이익 12조1000억원으로 잠정 집계 됐다고 발표했다. 전년 같은 분기 대비 매출은 8.72%, 영업이익은 31.81% 증가했다. 전 분기 대비로도 매출과 이익이 각각 15.33%, 158.55%씩 늘었다. 삼성전자가 10조 영업이익을 회복한 것은 지난해 2분기(10조4400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2025.10.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현주 기자 = 글로벌 인공지능(AI) 반도체의 슈퍼사이클(초호황) 속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질주하고 있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전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합산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 1000조원을 넘었다.
전날 장마감 기준 시총을 보면 삼성전자는 584조8602억원, 삼성전자 우선주는 63조5644억원, SK하이닉스는 371조2812억원을 기록했다. 합산 시총은 1020조원에 달한다.
글로벌 AI 인프라 확대에 따라 고대역폭메모리(HBM)뿐 아니라 범용 반도체 수요까지 급증하며 두 회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연일 양사에 대한 눈높이를 높여 잡는 모습이다.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는 역대급 실적을 올렸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사상 최대이자, 처음으로 80조원대를 돌파했고, 영업이익도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금액인 12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IBK투자증권은 최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14만원으로 상향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사업부의 실적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내년에는 수익성 증가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내년 삼성전자 DS사업부 영업이익은 67조4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3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HBM은 물론 범용 반도체 업황 개선 영향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KB증권 역시 범용 D램 수요 급증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DDR5 마진이 HBM3E를 상회할 것이라며 수익 역전을 예상했다.
또 엔비디아, 오픈AI, AMD, 브로드컴 등 빅테크 업체들의 HBM 공급망 다변화 전략과 AI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봤다.
25일 재계에 따르면 전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합산 시가총액은 사상 처음 1000조원을 넘었다.
전날 장마감 기준 시총을 보면 삼성전자는 584조8602억원, 삼성전자 우선주는 63조5644억원, SK하이닉스는 371조2812억원을 기록했다. 합산 시총은 1020조원에 달한다.
글로벌 AI 인프라 확대에 따라 고대역폭메모리(HBM)뿐 아니라 범용 반도체 수요까지 급증하며 두 회사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연일 양사에 대한 눈높이를 높여 잡는 모습이다.
지난 14일 3분기 잠정실적을 발표한 삼성전자는 역대급 실적을 올렸다. 매출은 86조원으로 사상 최대이자, 처음으로 80조원대를 돌파했고, 영업이익도 2022년 2분기 이후 가장 높은 금액인 12조1000억원을 기록했다.
IBK투자증권은 최근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14만원으로 상향했다.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사업부의 실적이 꾸준히 개선되고 있으며, 내년에는 수익성 증가폭이 더 커질 전망이다.
내년 삼성전자 DS사업부 영업이익은 67조4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3배 이상 증가할 것이라는 예상이다. HBM은 물론 범용 반도체 업황 개선 영향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KB증권 역시 범용 D램 수요 급증에 따른 가격 상승으로 DDR5 마진이 HBM3E를 상회할 것이라며 수익 역전을 예상했다.
또 엔비디아, 오픈AI, AMD, 브로드컴 등 빅테크 업체들의 HBM 공급망 다변화 전략과 AI 생태계가 확장되면서 직접적인 수혜를 입을 것으로 봤다.

오는 29일 3분기 확정 실적을 발표하는 SK하이닉스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가 전망치 평균)는 매출 24조8684억원, 영업이익 11조5585억원이다. 일각에서는 영업이익이 12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며 '10조 클럽'에 무난히 들어설 수 있다고 본다.
유안타증권은 SK하이닉스의 내년 예상 영업이익이 62조6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57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LS증권은 SK하이닉스의 본격적인 실적 반영이 4분기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역대 최대 실적을 계속 갱신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61만원으로 올렸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내년에도 (업황이) 나쁘지 않을 것 같다'며 "내년에도 올해 못지 않을 것이란 희망을 이어갈 수 있도록 열심히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계 관계자는 "메모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호황이 지속될 수 있다"며 "엔비디아, 오픈AI, AMD,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닷컴 등의 내년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SK하이닉스의 3분기 실적 컨센서스(증권가 전망치 평균)는 매출 24조8684억원, 영업이익 11조5585억원이다. 일각에서는 영업이익이 12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며 '10조 클럽'에 무난히 들어설 수 있다고 본다.
유안타증권은 SK하이닉스의 내년 예상 영업이익이 62조6000억원을 넘어설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57만원으로 상향 조정하기도 했다.
LS증권은 SK하이닉스의 본격적인 실적 반영이 4분기부터 시작될 것이라며 역대 최대 실적을 계속 갱신할 것이라며 목표주가를 61만원으로 올렸다.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내년에도 (업황이) 나쁘지 않을 것 같다'며 "내년에도 올해 못지 않을 것이란 희망을 이어갈 수 있도록 열심히 하고 있다"고 밝혔다.
재계 관계자는 "메모리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며 호황이 지속될 수 있다"며 "엔비디아, 오픈AI, AMD, 구글,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닷컴 등의 내년 수요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