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선고기일 지정 후 헌재 100m 진공 상태화 착수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일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24시간 철야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2025.04.02. jhope@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2/NISI20250402_0020756575_web.jpg?rnd=20250402112801)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일 서울 종로구 안국역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파면을 촉구하는 24시간 철야 집회가 이어지고 있다. 2025.04.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오정우 기자, 권도인 인턴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기일까지 이틀 남은 가운데,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일대에서 탄핵을 찬성·반대를 촉구하던 지지자들이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철야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탄핵 찬성·반대 집회 참가자들은 2일 오전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 일대에서 철야 집회를 벌이고 있다. 당초 헌재 인근에서 1인 시위, 단식 농성을 하는 모습이 연출되기도 했으나 전날 선고기일 지정 후 경찰이 헌재 인근 100m를 '진공 상태'를 만든 데 따른 것이다.
이에 탄핵 찬성 지지자들은 안국역 1·6번 출구에서, 탄핵 반대를 촉구하는 이들은 안국역 5번 출구에서 활동 중이다.
윤석열즉각퇴진·사회대개혁 비상행동(비상행동)은 안국역 6번 출구 앞에서 전날 오후 9시부터 탄핵 촉구 밤샘 집회를 진행하고 있다.
이날 오전 8시30분 기준 경찰 비공식 추산 1000명의 참가자들은 안국역 1번 출구 앞에서 약 280m에 달하는 7차선 도로를 차지한 채 '헌재는 파면 선고' '윤석열 즉각 파면' 손팻말을 들고 "민주파괴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 "전쟁책동 윤석열을 즉각 파면하라" 등 구호를 외쳤다.
전날부터 철야 집회를 이어온 이들은 은박 담요를 덮은 이른바 '키세스' 모습으로 추위를 버텨내거나 깔개·은박 돗자리 위에 가방을 베개 삼아 누워있기도 했다. 호두과자나 젤리 등 간식을 서로 나누거나 침낭을 편 채 잠을 청하는 이들도 눈에 띄었다.
진주에서 온 대학생 윤혁(21)씨는 "대학 동기 10명과 같이 왔다"며 "침낭과 깔개를 들고 왔는데 선고기일까지 철야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파면이 끝이 아니라 앞으로 세상에 다짐하는 신호탄이 될 거라고 생각해 목청껏 외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23일 서울 종로구 안국역 5번 출구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집회를 하고 있다. 2025.03.23. yes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3/NISI20250323_0020743643_web.jpg?rnd=20250323173533)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23일 서울 종로구 안국역 5번 출구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집회를 하고 있다. 2025.03.23. [email protected]
안국역 5번 출구 부근에선 탄핵 반대를 촉구하는 지지자들이 집결한 상황이다. 유튜버 등 약 100명의 집회 참가자들은 '탄핵 각하' '사기 탄핵' 등이 적힌 팻말을 든 채 "탄핵 기각" "대통령 즉각 복귀"를 외치고 있었다.
이곳에서 밤샘 집회를 해왔다는 이모(61)씨는 "나라 사랑하는 마음으로 지키자는 마음으로 왔다"며 "윤 대통령이 계엄령을 내리면서 계몽한 것을 대통령 덕분에 알게 됐다"고 했다.
이씨는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해서 나라를 똑바로 세워야 한다"고 호소했다.
한편, 경찰은 탄핵선고 당일 전국에 갑호비상을 발령하고 치안이 안정될 때까지 전국에 비상근무 태세를 유지할 방침이다.
특히 서울에는 210개 부대(1만4000여명)의 기동대를 집중 배치해 헌재 주변을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탄핵 찬반 단체 간 사전 차단선을 구축해 마찰을 방지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