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 의식해 이진숙은 지명 철회
'갑질논란' 강선우는 임명 수순
국힘 강선우 임명 수순에 "측근보호" 비판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7.17. photocdj@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17/NISI20250717_0020893265_web.jpg?rnd=20250717144451)
[서울=뉴시스] 최동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4차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7.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논문표절 의혹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지명을 철회했다. 보좌진 갑질 논란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임명하기로 했다.
우상호 정무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대통령께선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면서 고심에 고심을 계속했다"며 "고민 끝에 이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는 임명하기로 결정했느냐'는 물음에 "그렇다"며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앞둔) 11명 후보자 중 이 후보자 임명만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이 대통령에게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종합 보고를 했다. 지난주 '슈퍼 위크' 인사청문회 일정이 모두 끝남에 따라 강훈식 비서실장과 우 수석이 청문회 주요 내용과 여론 추이 등을 정리해 대면 보고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19명의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고 지난주까지 17명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됐다. 이 중 법무부·기재부·행안부·외교부 등 6개 부처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돼 임명 절차가 완료됐다.
관심은 이진숙 후보자와 강선우 후보자 거취 문제에 쏠렸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및 자녀 조기 유학 의혹에 대해 일부 해명을 내놓았지만 교육부 수장으로서의 적격성을 둘러싼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논란에 이어 청문회에서 '거짓 해명' 논란까지 더해지며 부정적 여론이 확산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에도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비공개 회동을 하며 의견 수렴을 했다. 송 비대위원장이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장관 후보자 가운데 부적절 인사들의 지명 철회를 요청하며 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자리에서 송 비대위원장은 두 후보자 등에 대한 지명철회를 요구했고 김 원내대표는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 '낙마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두 후보자 모두 각종 의혹에 휩싸이며 청문회 이후에도 사퇴 요구가 이어졌지만 이 대통령은 국정운영 동력과 여론 악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물론 친여 성향의 시민단체가 잇달아 두 후보자의 거취 정리를 요구한 만큼 부정적 여론을 무작정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추가 낙마자가 나올 경우 국정 운영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해 최소 낙마 기조를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 후보자의 경우 진보 진영과 민주당 보좌진 모임 등도 사퇴를 요구한 점은 부담이지만 사실관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의혹의 내용도 장관직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낙마할 중대한 결격사유는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강 후보자의 갑질 논란은 국민 정서상 민감한 사안이지만 사실관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며 "지도부 대다수의 의견은 문제없음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정책 관련 질의엔 무리 없이 답했다. 전문성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이 대통령이 이 후보자와 달리 강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지 않은 건 현역 의원 신분인 점도 고려됐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래 현역 의원 낙마 사례는 전무하다. 더욱이 강 후보자는 2021년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후보 캠프에 합류해 민주당 이재명 1기 지도부 체제에서 대변인을 지낸 친명 인사다.
국민의힘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하기로 한 것에 대해 "이재명 정부의 오만과 독선이며 국민 눈높이에 대한 정면도전"이라며 "측근보호형 인사농단"이라고 비판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가 시한 내에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이 10일 이내로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고 이후 임명이 가능하다. 강 후보자의 경우 보고서 채택 시한은 19일로, 이 대통령은 조만간 재송부 요청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우상호 정무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 대통령께선 그동안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면서 고심에 고심을 계속했다"며 "고민 끝에 이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국회는 인사권자인 대통령 뜻을 존중해 조속히 후속 조치를 진행해주실 것을 당부드린다"고 했다.
우 수석은 '강 후보자는 임명하기로 결정했느냐'는 물음에 "그렇다"며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앞둔) 11명 후보자 중 이 후보자 임명만 철회했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이 대통령에게 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종합 보고를 했다. 지난주 '슈퍼 위크' 인사청문회 일정이 모두 끝남에 따라 강훈식 비서실장과 우 수석이 청문회 주요 내용과 여론 추이 등을 정리해 대면 보고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 후 19명의 장관 후보자를 지명했고 지난주까지 17명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됐다. 이 중 법무부·기재부·행안부·외교부 등 6개 부처 장관 후보자는 인사청문보고서가 채택돼 임명 절차가 완료됐다.
관심은 이진숙 후보자와 강선우 후보자 거취 문제에 쏠렸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및 자녀 조기 유학 의혹에 대해 일부 해명을 내놓았지만 교육부 수장으로서의 적격성을 둘러싼 논란은 가라앉지 않았다. 강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논란에 이어 청문회에서 '거짓 해명' 논란까지 더해지며 부정적 여론이 확산했다.
이 대통령은 전날에도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송언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와 비공개 회동을 하며 의견 수렴을 했다. 송 비대위원장이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장관 후보자 가운데 부적절 인사들의 지명 철회를 요청하며 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요구한 데 따른 것이다.
이 자리에서 송 비대위원장은 두 후보자 등에 대한 지명철회를 요구했고 김 원내대표는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 '낙마 불가' 입장을 고수했다.
두 후보자 모두 각종 의혹에 휩싸이며 청문회 이후에도 사퇴 요구가 이어졌지만 이 대통령은 국정운영 동력과 여론 악화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야당은 물론 친여 성향의 시민단체가 잇달아 두 후보자의 거취 정리를 요구한 만큼 부정적 여론을 무작정 무시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함께 추가 낙마자가 나올 경우 국정 운영에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해 최소 낙마 기조를 유지한 것으로 해석된다.
강 후보자의 경우 진보 진영과 민주당 보좌진 모임 등도 사퇴를 요구한 점은 부담이지만 사실관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측면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의혹의 내용도 장관직을 수행하지 못할 정도로 낙마할 중대한 결격사유는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고위 관계자는 "강 후보자의 갑질 논란은 국민 정서상 민감한 사안이지만 사실관계가 명확히 규명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며 "지도부 대다수의 의견은 문제없음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강 후보자는 여성가족부 정책 관련 질의엔 무리 없이 답했다. 전문성에는 문제가 없었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선 이 대통령이 이 후보자와 달리 강 후보자 지명을 철회하지 않은 건 현역 의원 신분인 점도 고려됐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인사청문회 제도가 도입된 2000년 이래 현역 의원 낙마 사례는 전무하다. 더욱이 강 후보자는 2021년 대선 경선 때부터 이재명 후보 캠프에 합류해 민주당 이재명 1기 지도부 체제에서 대변인을 지낸 친명 인사다.
국민의힘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를 임명하기로 한 것에 대해 "이재명 정부의 오만과 독선이며 국민 눈높이에 대한 정면도전"이라며 "측근보호형 인사농단"이라고 비판했다.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가 시한 내에 보고서를 채택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이 10일 이내로 재송부를 요청할 수 있고 이후 임명이 가능하다. 강 후보자의 경우 보고서 채택 시한은 19일로, 이 대통령은 조만간 재송부 요청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