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9월 중은 아냐…외환 기소는 시기상조"
군 관계자 수차례 조사…'의혹 제기' 與의원도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박지영 내란특검보가 19일 오후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고등검찰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8.19. yes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8/19/NISI20250819_0020939530_web.jpg?rnd=20250819175606)
[서울=뉴시스] 홍효식 기자 = 박지영 내란특검보가 19일 오후 특검 사무실이 마련된 서울 서초구 고등검찰청 기자실에서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8.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최서진 기자 = 내란 특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을 비롯해 내란 혐의를 받는 이상민 전 장관,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 핵심 인물들을 구속한 가운데, 외환 의혹 수사는 다음달까지 이어갈 방침이다.
20일 법조계에 따르면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이달 중 김용대 전 드론작전사령관 등 평양 무인기 작전에 관여한 주요 관계자를 조만간 기소할 것이란 관측이 있었으나, 특검 측은 사실 확인과 의혹 규명에 좀 더 시간이 필요하단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지영 특검보는 지난 17일 "모든 의혹이 전체적으로 연결돼 있는 상황이라 바로 기소가 임박했다고 보기는 시기상조 같다"며 "9월 중 뭐가 이뤄지는 게 아닌 건 명백해 보인다"고 설명했다.
특검은 최근에도 군 관계자들을 수시로 불러 지난해 10~11월 이뤄진 평양 무인기 작전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명분을 만들기 위한 것인지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특검은 지난 18일엔 박안수 전 계엄사령관(전 육군참모총장), 김용대 전 사령관, 김명수 합동참모본부 의장을 동시에 조사하기도 했다.
박 전 사령관은 국회의 비상계엄 해제 요구안 의결 뒤 윤석열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과 함께 합동참모본부 결심지원실에 있었던 인물 중 한 명이다.
특검은 외환 핵심인 김 전 사령관도 주목하고 있다. 특검은 그가 윤 전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등의 지시를 받고 계엄 명분을 얻기 위해 무인기를 평양에 침투시켰다고 의심한다.
특검은 이승오 합참 작전본부장과 원천희 정보본부장의 작전 관여 여부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특검은 지난 10일 이 본부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 본부장은 김 전 장관의 합참 '패싱' 과정에서 관여했다는 의혹을, 원 본부장은 작전을 사전 인지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외환 관련 의혹을 받는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과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은 최근 범죄 사실을 적극 진술하면 형량 등을 감면해주는 '플리바게닝'을 제안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의 진술 확보가 무인기 작전과 '노상원 수첩' 등 의혹을 규명하는 데 도움이 될 거라고 특검은 보고 있다.
특검은 외환 관련 의혹을 지속적으로 제기한 여권 인사도 부르는 등 최대한 많은 진술을 확보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엔 박선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두 차례 불러 평양 무인기 작전, 정보사 몽골 공작 등 각종 외환 관련 의혹에 대해 조사했다.
특검은 다음 주 김 전 장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구치소 방문 조사할 계획이다. 특검은 지난 15일 김 전 장관의 자택과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하며 일반이적,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등 혐의를 적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