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코스닥 나란히 '매도 사이드카' 발동
코스피 올해 두 번째 사이드카, 투자심리 급랭
미 기술주 폭락 여파…국내 증시 변동성 확대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121.74)보다 66.27포인트(1.61%) 내린 4055.47에 개장한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4000 아래 떨어진 코스피 시세가 보이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926.57)보다 4.29포인트(0.79%) 하락한 919.28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37.9원)보다 5.6원 오른 1443.5원에 출발했다. 2025.11.05. myjs@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05/NISI20251105_0021044812_web.jpg?rnd=20251105094014)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4121.74)보다 66.27포인트(1.61%) 내린 4055.47에 개장한 5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 4000 아래 떨어진 코스피 시세가 보이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926.57)보다 4.29포인트(0.79%) 하락한 919.28에 거래를 시작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37.9원)보다 5.6원 오른 1443.5원에 출발했다. 2025.11.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진아 배요한 기자 = 국내 증시가 미국 기술주 급락 여파로 장 초반부터 크게 흔들리며,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프로그램 매도호가 효력 정지 조치인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46분께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20% 하락한 552.80을 기록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사이드카는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경우 발동되며, 발동 시점부터 5분간 프로그램 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된다.
이번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은 올들어 두 번째다. 앞서 매도 사이드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하며 글로벌 증시가 출렁였던 지난 4월 7일에도 발동된 바 있다.
코스닥 시장에도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오전 10시 26분 기준 코스닥150 선물은 전일 대비 6.23% 급락한 1523.90, 코스닥150 지수는 6.01% 하락한 1523.68을 기록하며 발동 요건을 충족했다.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는 선물지수가 6% 이상, 현물지수가 3%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면 발동된다.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는 올 들어 처음이다. 직전 사이드카는 지난 4월 10일 발동된 것으로, 당시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방침 발표에 따라 시장이 급등하면서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됐었다.
코스닥 사이드카는 발동 시점부터 5분간 프로그램 매도(또는 매수)호가의 효력이 정지되며, 이후 자동으로 해제된다.
한편 이날 국내 증시는 간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이 확대된 영향을 크게 받았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53% 하락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17% 내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04% 하락 마감했다.
글로벌 금융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미국 지수 선물은 아시아장에서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5일(한국시간) 오전 11시 기준 S&P500 선물(-0.63%), 나스닥100 선물(-0.97%), 다우 선물(-0.23%) 등은 일제히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46분께 코스피200 선물지수가 전일 종가 대비 5.20% 하락한 552.80을 기록하면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사이드카는 코스피200 선물 가격이 기준가 대비 5%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간 지속될 경우 발동되며, 발동 시점부터 5분간 프로그램 매도호가의 효력이 정지된다.
이번 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은 올들어 두 번째다. 앞서 매도 사이드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상호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하며 글로벌 증시가 출렁였던 지난 4월 7일에도 발동된 바 있다.
코스닥 시장에도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오전 10시 26분 기준 코스닥150 선물은 전일 대비 6.23% 급락한 1523.90, 코스닥150 지수는 6.01% 하락한 1523.68을 기록하며 발동 요건을 충족했다.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는 선물지수가 6% 이상, 현물지수가 3% 이상 하락한 상태가 1분 이상 지속되면 발동된다.
코스닥 매도 사이드카는 올 들어 처음이다. 직전 사이드카는 지난 4월 10일 발동된 것으로, 당시에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방침 발표에 따라 시장이 급등하면서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됐었다.
코스닥 사이드카는 발동 시점부터 5분간 프로그램 매도(또는 매수)호가의 효력이 정지되며, 이후 자동으로 해제된다.
한편 이날 국내 증시는 간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기술주 중심으로 낙폭이 확대된 영향을 크게 받았다. 4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53% 하락했으며,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1.17% 내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전장보다 2.04% 하락 마감했다.
글로벌 금융정보 플랫폼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미국 지수 선물은 아시아장에서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5일(한국시간) 오전 11시 기준 S&P500 선물(-0.63%), 나스닥100 선물(-0.97%), 다우 선물(-0.23%) 등은 일제히 약세를 나타내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