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매도 사이드카' 발동…8개월만
외인, 현선물 시장서 3조 넘게 순매도
대장주 삼성전자 5%대 급락…SK하닉 9%대↓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465.42)보다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에 장을 마친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7.39)보다 36.09포인트(5.25%) 급락한 651.30에 거래를 종료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34.1원)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07. hwang@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07/NISI20250407_0020763455_web.jpg?rnd=20250407160356)
[서울=뉴시스] 황준선 기자 = 코스피가 전 거래일(2465.42)보다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에 장을 마친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딜러들이 업무를 보고 있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7.39)보다 36.09포인트(5.25%) 급락한 651.30에 거래를 종료했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34.1원)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2025.04.0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미·중 관세 전쟁 격화로 코스피가 5% 넘는 급락세를 나타냈다. 외국인은 현선물 시장에서만 3조원이 넘는 매물 폭탄을 쏟아내며 증시 하락을 주도했다. 코스피는 8개월 만에 매도 사이드카(프로그램매매 호가 효력정지)가 발동됐고, 대장주 삼성전자는 5% 넘게 떨어졌다.
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465.42)보다 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에 장을 마쳤다. 2359선으로 출발한 지수는 장중 낙폭을 확대하며 저가 부근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는 장 초반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이날 거래소는 오전 9시 12분 코스피200선물이 전일 종가(기준가격) 329.15포인트에서 312.05포인트로 17.10포인트(-5.19%) 하락한 후 1분간 지속돼 사이드카가 발동했다고 밝혔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기준가격보다 5% 이상 하락해 1분간 지속될 경우 프로그램 매매 호가 효력을 5분간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스피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8개월 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1715억원을 순매도 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조7626억원, 243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 시장에서도 7934억원을 순매도 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약세를 면치못했다.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5.17%(2900원) 하락한 5만3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밖에 SK하이닉스(-9.55%), LG에너지솔루션(-1.82%), 삼성바이오로직스(-5.71%), 현대차(-6.62%), 삼성전자우(-5.27%), 셀트리온(-5.46%), 기아(-5.69%), NAVER(-3.03%), 한화에어로스페이스(-8.85%) 등 모든 종목이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7.39)보다 36.09포인트(5.25%) 급락한 651.30에 거래를 종료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 홀로 2017억원을 팔아치웠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25억원, 79억원을 사들였다.
알테오젠(-7.58%), 에코프로비엠(-5.61%), HLB(-3.82%), 에코프로(-4.70%), 레인보우로보틱스(-7.14%), 삼천당제약(-3.82%), 휴젤(-7.98%), 클래시스(-8.07%), 코오롱티슈진(-5.71%), 파마리서치(-7.00%) 등 시총 상위종목들은 모두 떨어졌다.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하락 종목은 각각 866개, 1495개였으며, 상승 종목은 각각 68개, 191개로 집계됐다. 보합 종목은 총 39개였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의 연이은 하락으로 이날 국내 증시도 급락 출발했다"며 "장 초반 코스피200 선물이 5% 넘게 하락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중 WTI가 60달러를 하회하고, 안전자산인 금도 고점 대비 5% 넘게 하락하는 등 관세 충격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공포 심리를 자극하며 광범위한 자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또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주요 아시아 증시도 7~12% 내외로 급락하며 관세 충격을 반영했다"며 "코스피는 밸류에이션 기준 저점 부근이나 관세 충격이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중장기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강경 노선이 지속되고 있고, 중국의 34% 보복 관세가 시행됐을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역시 협상 불발 시 보복 관세를 예고하고 있어 협상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상호 보복 관세가 지속 및 확대될수록 침체 확률은 더욱 뚜렷하게 상승하게 될 것"이라며 "주식시장은 이제 관세 쇼크의 완화를 확인할 때까지 계속해서 침체 및 위기 시나리오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34.1원)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2465.42)보다 137.22포인트(5.57%) 내린 2328.20에 장을 마쳤다. 2359선으로 출발한 지수는 장중 낙폭을 확대하며 저가 부근에서 거래를 마감했다.
코스피는 장 초반 사이드카가 발동됐다. 이날 거래소는 오전 9시 12분 코스피200선물이 전일 종가(기준가격) 329.15포인트에서 312.05포인트로 17.10포인트(-5.19%) 하락한 후 1분간 지속돼 사이드카가 발동했다고 밝혔다.
코스피 사이드카는 코스피200선물 가격이 기준가격보다 5% 이상 하락해 1분간 지속될 경우 프로그램 매매 호가 효력을 5분간 정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코스피 사이드카가 발동된 것은 지난해 8월 이후 8개월 만이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2조1715억원을 순매도 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조7626억원, 2430억원을 순매수했다. 외국인은 코스피200 선물 시장에서도 7934억원을 순매도 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은 약세를 면치못했다.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 대비 5.17%(2900원) 하락한 5만320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밖에 SK하이닉스(-9.55%), LG에너지솔루션(-1.82%), 삼성바이오로직스(-5.71%), 현대차(-6.62%), 삼성전자우(-5.27%), 셀트리온(-5.46%), 기아(-5.69%), NAVER(-3.03%), 한화에어로스페이스(-8.85%) 등 모든 종목이 하락세를 보였다.
코스닥 지수는 전 거래일(687.39)보다 36.09포인트(5.25%) 급락한 651.30에 거래를 종료했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 홀로 2017억원을 팔아치웠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1825억원, 79억원을 사들였다.
알테오젠(-7.58%), 에코프로비엠(-5.61%), HLB(-3.82%), 에코프로(-4.70%), 레인보우로보틱스(-7.14%), 삼천당제약(-3.82%), 휴젤(-7.98%), 클래시스(-8.07%), 코오롱티슈진(-5.71%), 파마리서치(-7.00%) 등 시총 상위종목들은 모두 떨어졌다.
이날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에서 하락 종목은 각각 866개, 1495개였으며, 상승 종목은 각각 68개, 191개로 집계됐다. 보합 종목은 총 39개였다.
김지원 KB증권 연구원은 "미국 증시의 연이은 하락으로 이날 국내 증시도 급락 출발했다"며 "장 초반 코스피200 선물이 5% 넘게 하락하면서 올해 처음으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장중 WTI가 60달러를 하회하고, 안전자산인 금도 고점 대비 5% 넘게 하락하는 등 관세 충격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가 공포 심리를 자극하며 광범위한 자산 가격 하락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
또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주요 아시아 증시도 7~12% 내외로 급락하며 관세 충격을 반영했다"며 "코스피는 밸류에이션 기준 저점 부근이나 관세 충격이 경기침체로 이어지는 중장기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보수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트럼프의 강경 노선이 지속되고 있고, 중국의 34% 보복 관세가 시행됐을 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역시 협상 불발 시 보복 관세를 예고하고 있어 협상 가능성이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상호 보복 관세가 지속 및 확대될수록 침체 확률은 더욱 뚜렷하게 상승하게 될 것"이라며 "주식시장은 이제 관세 쇼크의 완화를 확인할 때까지 계속해서 침체 및 위기 시나리오를 반영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1434.1원)보다 33.7원 오른 1467.8원에 주간 거래를 마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