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진숙 지명철회 이어 강선우 자진사퇴…이재명 정부 장관 후보자 2번째 낙마
여론 악화에 결국 거취 정리한 듯…인사 발표 24일·논란 제기 2주 만에 물러나
잇단 인사난맥에 '검증부실' 지적도…대통령실 "국민 눈높이 맞는 엄정함 갖출것"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임명장 및 위촉장 수여식을 마치고 참석자들과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7.23.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23/NISI20250723_0020900566_web.jpg?rnd=20250723113427)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3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임명장 및 위촉장 수여식을 마치고 참석자들과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2025.07.2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갑질 의혹이 제기된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결국 사퇴했다. 이진숙 전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이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두 번째 장관 후보자 낙마 사례다.
이번 조치로 일단 인사 논란 부담은 덜었지만, 거듭된 인사 난맥으로 대통령실의 '인사 추천·검증 시스템'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 후보자는 이날 오후 3시 50분께 페이스북에 올린 입장문에서 "그동안 저로 인해 마음 아프셨을 국민께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며 자진 사퇴 의사를 밝혔다. 여가부 장관 인사를 발표한 지 24일 만으로, 갑질 논란이 제기된 지 2주 만이다.
그는 "많이 부족하지만, 모든 것을 쏟아부어 잘해 보고 싶었다. 그러나, 여기까지였던 것 같다"며 "큰 채찍 감사히 받아들여 성찰하며 살아가겠다"고 했다.
이어 "저를 믿어주시고 기회를 주셨던 이재명 대통령님께도 한없이 죄송한 마음뿐"이라며 "함께 비를 맞아주었던 사랑하는 우리 민주당에도 제가 큰 부담을 지어드렸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지난 20일 논문 표절, 자녀 불법 조기유학 의혹 등이 불거진 이진숙 장관 후보자의 지명을 철회하면서도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하겠다는 뜻을 나타냈다. 보좌진 갑질에 이어 문재인 정부 시절 지역구 민원을 들어주지 않는다는 이유로 강 후보자가 여성가족부 예산을 삭감하려 했다는 폭로까지 나왔으나, 국회에 강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경과보고서를 24일까지 보내달라고 재송부를 요청했다. 이번 주 내에 강 후보자에 대한 임명을 강행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후 여론은 더 악화했고, 국정 지지율이 취임 이후 처음으로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이에 대통령실 안에서도 강 후보자가 스스로 결단하기를 바라는 기류가 감지됐다. 강 후보자 임명 강행이 국정 운영의 리스크가 될 것이란 우려에서다.
결국 이같은 여론 부담 때문에 강 후보자가 자진 사퇴했다.
강 후보자 거취 정리와는 별개로 인사 검증 문제는 이재명 정부의 과제가 됐다. 강 후보자가 사퇴하며 새 정부에서 낙마한 고위 공직자는 모두 4명으로 늘었다. '차명 재산·부동산' 논란에 휩싸인 오광수 전 민정수석과 이진숙 전 교육부장관 후보자,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를 옹호해 논란을 빚은 강준욱 전 대통령실 국민통합비서관 등이 앞서 물러났다. 이들 모두 재산 및 법적 분쟁 기록, 저작물 등 기본 자료 조사만으로도 부적격 사유를 찾아낼 수 있었다는 점에서 부실 검증 우려가 제기된다.
이재명 정부의 집권 초반 인사를 둘러싸고 잡음이 이어지면서 여권에서도 대통령실 인사 검증 기능을 조속히 점검하고 보완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여권 한 관계자는 "인사 원칙부터 재정비하고, 인사 추천과 검증의 과정을 최대한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대통령실은 애초 '인사 시스템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을 강조했으나 이날 "좀 더 철저히 검증하겠다"고 고개를 숙였다.
강유정 대변인은 "인사 검증 절차를 꼼꼼히, 엄밀히 진행하고 있지만 좀 더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국민 눈높이에 맞는 후보, 임명자를 찾기 위해 살펴볼 부분은 있을 걸로 보인다"며 "국민 여론과 함께 좀 더 신중히 접근하고 인사 절차에 엄정함을 갖추겠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인사 검증 업무를 담당하는 행정관이 과로로 쓰러질 정도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나 담당자 한 명이 맡는 대상이 너무 많고 업무 범위도 워낙 방대하다"며 "물리적으로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기 때문에 인력 보강과 시스템 정비 등 보완책은 필요해 보인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