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분리시 잔량기준 30% 이하인데…"80%때 작업"
"보안 이유로 소방 화재안전조사 거부"…"적절치 못해"
배터리 수명 초과 뒤늦게 알고 작업 인력 규모도 '혼선'
![[대전=뉴시스] 강종민 기자 = 지난달 28일 국과수 요원들이 화재가 완진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5.09.28.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9/28/NISI20250928_0020996750_web.jpg?rnd=20250928130929)
[대전=뉴시스] 강종민 기자 = 지난달 28일 국과수 요원들이 화재가 완진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으로 향하고 있다. 2025.09.2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강지은 이종성 수습 기자 = 정부 전산망 마비를 불러온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 원인 수사가 속도를 내고 있는 가운데, 이번 사태는 '예견된 인재(人災)'였다는 정황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배터리 이전 과정에서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지침을 어기고, 소방 당국의 화재안전조사도 제대로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기본적인 수칙만 지켰어도 사전에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8일 행정안전부와 국정자원 등에 따르면 이번 화재 원인 중 하나는 '배터리 충전 용량 초과'가 거론된다.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분리 작업 중 과실이 크다고 생각하느냐'는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배터리 업계의 가이드라인을 보면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는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 작업하도록 하고 있다.
고 의원은 "국내 대표 배터리 업체 두 곳의 작업 가이드라인을 봤는데, 두 회사 모두 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 상태인 SOC(State of Charge)를 30% 이하로 낮춰서 작업한다고 돼 있다"며 "이런 사항을 보고 받은 바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이번 화재 사고 이후 과정을 다시 짚어보고 직원들과 면담을 했는데, 배터리 SOC는 80% 정도 됐었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체에서 규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셈이다.
현안 질의에 참석한 정재한 LG에너지솔루션 전무도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의 배터리 이전과 관련한 질문에 "제품을 만들어서 출하할 때 충전된 상태를 30% 이하로 해서 납품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배터리 업체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보면 배터리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추기만 해도 전기 단락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은 제로(0)에 가까웠을 것이라고 한다"며 "가장 기본이 안 지켜졌다"고 지적했다.
배터리 이전 과정에서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야 한다'는 지침을 어기고, 소방 당국의 화재안전조사도 제대로 받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서 기본적인 수칙만 지켰어도 사전에 피해를 막을 수 있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배터리 분리 시 잔량 기준 30% 이하인데…"80% 때 작업"
이재용 국정자원 원장은 지난 1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현안질의에서 '배터리 화재와 관련해 분리 작업 중 과실이 크다고 생각하느냐'는 고동진 국민의힘 의원 질의에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배터리 업계의 가이드라인을 보면 무정전 전원장치(UPS)용 리튬 배터리를 분리할 때에는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춰 작업하도록 하고 있다.
고 의원은 "국내 대표 배터리 업체 두 곳의 작업 가이드라인을 봤는데, 두 회사 모두 배터리를 분리할 때 충전 상태인 SOC(State of Charge)를 30% 이하로 낮춰서 작업한다고 돼 있다"며 "이런 사항을 보고 받은 바 있느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이번 화재 사고 이후 과정을 다시 짚어보고 직원들과 면담을 했는데, 배터리 SOC는 80% 정도 됐었다"고 말했다. 배터리 업체에서 규정하는 가이드라인을 지키지 않은 셈이다.
현안 질의에 참석한 정재한 LG에너지솔루션 전무도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의 배터리 이전과 관련한 질문에 "제품을 만들어서 출하할 때 충전된 상태를 30% 이하로 해서 납품하고 있다"고 말했다.
고 의원은 "배터리 업체 전문가 이야기를 들어보면 배터리 충전 용량을 30% 이하로 낮추기만 해도 전기 단락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은 제로(0)에 가까웠을 것이라고 한다"며 "가장 기본이 안 지켜졌다"고 지적했다.
![[대전=뉴시스] 김금보 기자 = 1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 설치된 외부 냉각 침수조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화학작용으로 인한 기포가 올라오고 있다. 2025.10.01. kgb@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01/NISI20251001_0021002047_web.jpg?rnd=20251001150825)
[대전=뉴시스] 김금보 기자 = 1일 오후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현장에 설치된 외부 냉각 침수조의 리튬이온 배터리에서 화학작용으로 인한 기포가 올라오고 있다. 2025.10.01. [email protected]
"보안 이유로 소방 화재안전조사 거부"…"적절치 못해"
채현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작년 5월 국정자원에 대한 화재안전조사가 진행됐는데, '2~5층 각 전산실 및 보안구역 화재 안전조사 미시행'이라고 기재돼 있다"며 "소방의 화재 조사에 협조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이냐"고 물었다.
이에 대해 이 원장은 "당시 점검 과정에서 기기 오작동 등이 일어나 조금 불안한 상황이 있었다"면서도 "그렇게(소방 점검 거부를) 하지 않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이 원장은 조사 거부 결정을 원장이 했냐는 지적에는 "그것은 아니다"며 "(소방 점검을 거부한 사실을) 이번에 알았다"고 답했다. 그는 "보안을 이유로 전산실 공간이 제외됐던 것은 맞지만, 적절하지 않은 조치였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소방 점검을 하면서 경보 알람이 울리면 자칫 전산실 내 화재로 잘못 (인식)돼서 소화 가스가 터진다고 하는 우려가 있었다"며 "이유가 그렇다고 하더라도 소방 점검을 받아야 했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소방 당국도 소극적인 조치에 대해 사과했다.
김승룡 소방청장 직무대행은 "그 때 아마 보안구역으로 설정됐다는 설명을 듣고 진행을 못한 부분이 있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희가 어떤 방법을 써서라도 좀 더 적극적으로 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채 의원은 "법 규정에 따라 화재안전조사를 했더라면 이 사고는 결코 일어날 수 없는 화재"라며 "아주 기본적인 안전관리조차 하지 않은 인재"라고 질타했다.
![[대전=뉴시스] 강종민 기자 = 화재가 발생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27일 소방대원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소화수조로 옮기고 있다. (사진=총리실sns) 2025.09.2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9/27/NISI20250927_0020996328_web.jpg?rnd=20250927235337)
[대전=뉴시스] 강종민 기자 = 화재가 발생한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서 27일 소방대원이 불에 탄 리튬이온 배터리를 소화수조로 옮기고 있다. (사진=총리실sns) 2025.09.27.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배터리 수명 초과 뒤늦게 알고 작업 인력 규모도 '혼선'
이 원장은 "배터리 수명이 초과됐다는 것을 안 것은 이번 화재 이후에 조사를 하면서 확인했다"며 "정기점검에서 리포트가 나온 것을 봤고, 이번에 확인을 해봤다"고 했다.
불이 난 배터리는 사용 연한(10년)이 이미 1년을 넘어 지난해 6월 교체가 권고됐는데, 이러한 사실을 이번에 알게 됐다는 것이다. 앞서 이 원장은 "교체 권고가 있었지만 1~2년 더 쓸 수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원장은 또 '올해 6월 배터리 정기점검 결과를 직접 보고 받고 결재했냐'는 박정현 민주당 의원 질의에는 "보고서를 하나하나 보지는 못했다"고 답하기도 했다.
배터리 이전 작업에 투입된 인력 규모 발표가 오락가락한 것도 문제로 지적된다.
사고 직후 정부는 작업자 13명이 배터리를 교체하던 중 화재가 발생했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사고 사흘 뒤인 지난달 29일에는 8명의 인력이 현장에 있었다고 했고, 이후에는 감리인 1명을 포함한 총 15명으로 현장 인력 규모를 추정했다.
국민의힘은 "뒤죽박죽인 정부 발표로 혼선을 부추기고 사실을 축소 은폐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혹이 든다"며 "이번 사고는 정부의 철저한 관리가 있었다면 절대로 방치하지 않았을 인재로 발생한 참사"라고 밝혔다.
전문가들도 이번 화재가 보다 철저한 안전 관리만 지켰어도 충분히 막을 수 있었던 사고였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공하성 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배터리 이전 작업 시 시방서(작업 기준을 적은 서류)를 따르지 않은 것은 명백한 잘못"이라며 "공공기관은 내부 공무원이 교육 이수만으로 관리자가 될 수 있어 전문성 강화도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