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EC 앞두고 경제팀 미국행 총출동…美 관세협상 매듭 지을까

기사등록 2025/10/16 06:00:00

정책실장·산업장관, 美 상무장관과 회담

경제부총리, 美 재무장관 양자회담 추진

"APEC 때 협상 타결 목표 조율로 보여"

[서울=뉴시스]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구윤철 경제부총리 등 한국 협상단이 한미 관세 협상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X 캡쳐) 2025.08.04.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지난달 30일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구윤철 경제부총리 등 한국 협상단이 한미 관세 협상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 X 캡쳐) 2025.08.04.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뉴시스]여동준 기자 = 한·미 관세 협상이 장기 교착에 빠진 가운데, 대통령실과 경제 부처 수장들이 일제히 미국으로 향했다.

미국과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방식에 대한 이견이 좁혀지지 않고 있는 가운데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돌파구가 마련될지 관심이 모인다.

16일 정부 등에 따르면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김정관 산업통상부 장관은 이날 오전 미국 워싱턴 D.C.행 비행기에 오른다.

한미 양국은 지난 9월 미국이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대신 우리나라가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펀드 조성에 잠정 합의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투자 방식과 수익 배분 구조를 두고 의견 차를 좁히지 못해왔다.
[인천공항=뉴시스] 조성우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5.08.22. xconfind@newsis.com
[인천공항=뉴시스] 조성우 기자 =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2025.08.22. [email protected]

미국은 우리나라에 전액 현금 투자를 요구했지만 우리나라는 보증과 융자를 포함한 투자를 제안하면서 이견이 발생한 것이다.

다만 최근 미국이 기존의 전액 현금 요구에서 한발 물러나 새로운 투자안을 제시했고 우리 정부가 이를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실장과 김 장관이 미국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장관과의 회담을 통해 교착 상태에 빠진 양국 간 협상이 진전될지에 관심이 모인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역시 미국을 방문했다.

구 부총리는 전날(15일) 오전 G20 재무장관회의 및 IMF·세계은행 연차총회 참석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했다.

이번 일정을 활용해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과의 양자회담을 추진하고,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을 포함해 관세 협상을 논의하겠다는 방침이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 대한민국대표부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면담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9.25. *재판매 및 DB 금지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주유엔 대한민국대표부에서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과 면담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 : 기재부 제공) 2025.9.25. *재판매 및 DB 금지

정부는 APEC을 계기로 한국을 방문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이재명 대통령과의 양자회담을 추진 중이다.

사전에 이견을 충분히 조율해야 한미 정상회담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낼 수 있는 만큼, 정부는 정책실장과 경제·산업 수장을 모두 활용해 APEC 개최 전 총력전에 나선 모양새다.

구기보 숭실대 교수는 "양국이 이견을 좁혀가는 모습"이라며 "APEC 정상회담 때 협상 타결을 목표로 조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고 평가했다.

구 교수는 "트럼프 대통령 입자에서도 자기 성과를 자랑할 수 있을 것이고, 이 대통령 입장에서도 홈그라운드에 있을 때 타결하는 것이 유리한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백철우 덕성여대 교수 역시 "양국이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데 이벤트는 APEC에 맞춰서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백 교수는 "미국이 비기축통화국과 통화스와프를 쉽게 체결하지 않는 점을 고려하면 통화스와프보다는 3500억 달러 투자 관련 이견이 좁혀지는 것 아닐까 싶다"고 전했다.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찰리 커크 대통령 자유의 메달 수여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10.15.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4일(현지 시간) 미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찰리 커크 대통령 자유의 메달 수여식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2025.10.15.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APEC 앞두고 경제팀 미국행 총출동…美 관세협상 매듭 지을까

기사등록 2025/10/16 06: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